최근 국내 양계장의 조류독감(AI) 감염 피해가 확대되며 국산 신선란의 공급 부족이 외국산 신선란 수입으로 이어지는 상황이다. 외국산 달걀의 안전성과 가격 등에 대한 관심 또한 커지고 있다. 특히 지난 3일 처음으로 수입된 미국산 신선란 7억개 외에도 중국, 인도, 캐나다 등의 신선란을 추가 수입할 것으로 전해져 중국산 신선란의 안전성 문제가 국내외의 화제로 떠올랐다.
12일 중국 농업부가 밝힌 중국의 달걀 시장 규모는 연평균 3000억 위안(약 52조원)으로 전 세계최대 달걀 생산국가로 꼽힌다. 실제로 연간 생산되는 달걀 중 약 40%가 중국산인 것으로 농업부는 집계했다.
지난 2015년 기준, 중국의 연간 신선란 생산량은 2400만 톤이었으며, 같은 기간 중국인은 1인당 평균 1.3일에 1개를 소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3년 동안 신선란 생산량은 매년 2%씩 상승하고 있는 추세다.
반면, 세계 최대 신선란 생산 국가에도 불구하고 유기농, 무공해 등 친자연적 방법으로 생산되는 달걀 브랜드는 연간 생산물의 약 10%에도 못 미치는 상황인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 베이징에서 개최된 ‘제5회 중국신선란산업수급형세분석회’에서 중국 농업부 농산품품질안전관리국은 현재 중국에서 생산되는 상당수 신선란이 유기화합물 등 영양소 면에서 부족한 제품이 시중에 팔려나가고 있다고 보고했다.
이는 중국내 양계 업체의 운영 상황이 대부분 소규모 업체가 담당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공장 내 위생 불량 문제 해결의 어려우며, 생산품의 성분 안전성 인증 과정 없이 소비자에게 판매가 가능한 유통구조 등이 문제의 원인으로 지적됐다.
실제로 현재 중국 내 정부 인증을 받고 운영되는 신선란 브랜드는 ‘류장무예(柳江牧业)’, ‘덕청원(德青源)’, ‘순바오농예(顺宝农业)’ 등 3곳이 대표적이다. 이들 3개 브랜드는 지난해 기준 각각 3억 200만 위안(약 519억원), 2억 7200만 위안(약 467억원), 5500만 위안(약 95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두는데 그쳤다. 이는 같은 기간 중국 양계 시장의 약 3%를 점유하는데 그친 수치다.
해당 브랜드 제품의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이유는 현지 시장에 공급되는 저가의 달걀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제품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 탓이다.
로컬 시장을 통해 유통되는 저가의 달걀과 비교해 최대 3배 이상 비싼 이들 브랜드 제품은 대형 마트를 통해 유통되고 있는 반면, 소비자들은 1근(7~8개)에 3위안(약 540원) 남짓 하는 저가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이 분야 전문가들은 소규모 업체에 대한 인수 합병 등 신선란 업체의 규모화를 추진, 다양한 제품의 브랜드 화를 통한 제품 안전성을 담보해야 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국가신선란산업기술체계수도과학가 양닝훼이(杨宁曾)는 “중국의 인구 증가 정책과 소득 증가, 삶의 질 향상에 힘입어 달걀 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면서 “식품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소규모 영세 양계업체의 통합을 통한 소비자 신뢰를 얻어야 하는 시기다”고 강조했다.
글·사진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