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을 빨리 먹을 때 ‘폭풍 흡입’이라는 표현을 쓰지만, 자연계에는 실제로 이빨로 먹이를 씹지 않고 그대로 흡입하는 형태의 섭식 전략이 있다.
지구상에서 가장 큰 동물인 수염고래는 크릴 새우나 작은 플랑크톤을 수염으로 걸러 먹는 여과 섭식(filter feeding) 방식으로 거대한 몸을 지탱한다. 먹이 피라미드에서 아래에 있는 풍부한 먹이를 바탕으로 충분한 식량을 얻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본래 이빨을 가졌던 고래의 조상이 어떤 과정을 거쳐 이렇게 진화했는지 연구했다.
최근 페루에서 발견된 3640만 년 전의 고래 화석은 수염고래 진화의 결정적 증거를 제공했다. 미스타코돈(Mystacodon)이라고 명명된 이 화석 고래는 4m가 넘지 않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원시 고래로 아직 작은 뒷다리가 남아있다. 하지만 뒷다리보다 관심을 끄는 부분은 먹이를 씹기에 적합하지 않은 작은 이빨이다.
연구팀은 이 고래가 작은 물고기를 씹어 먹는 대신 바닷물과 함께 흡입한 후 먹는 방식을 사용했다고 믿고 있다. 현생 수염고래의 경우 이빨이 태생기에 나타났다 사라지고 평생 이빨 대신 수염으로 먹이를 걸러 먹는다.
미스타코돈이 살았던 환경은 작은 물고기가 풍부한 얕은 바다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경우 이빨로 먹이를 잡는 것보다 그냥 바닷물과 함께 흡입하는 쪽이 더 편리한 방식이 될 수 있다. 다만 아직 먹이를 효과적으로 걸러내는 장치가 없어서 수염 고래에 비해서 적은 양의 먹이만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수염고래의 조상은 수염도 없을 뿐 아니라 크기도 작다.
세월이 흐르면서 마스타코돈의 후손들은 크기는 작지만, 훨씬 풍부한 먹이를 잡을 수 있도록 수염을 진화시켰다. 이들은 막대한 먹이를 먹을 수 있어 지구 최대의 동물로 진화할 수 있었다.
미스타코돈의 화석은 이빨고래에서 수염고래로 진화하는 중간단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화석으로 평가된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