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델 테이트(97)는 제2차세계대전에 참전한 퇴역 군인이고, 정제공장에 다니는 성실한 생활인으로 은퇴했다. 1956년 마련한 집에서 60년 넘도록 지내면서 100세 가까운 나이에도 매일 동네 산책을 즐길 정도로 건강을 유지했다.
그는 지난달 21일 자신의 집 침실에서 잠옷을 입은 채로 괴한이 휘두른 둔기에 맞아 숨지고 말았다. 볼티모어 범죄 역사에서 최고령 피살자라는 쓸쓸한 기록에 남게 됐다. 그리고 올해에만 2112건에 달할 정도로 쉼없이 발생하는 살인사건 피해자의 상징과 같은 존재가 됐다.
미국 워싱턴포스트 등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볼티모어 시장인 캐서린 퓨는 9일(현지시간) 기록적인 살해 사건 등 범죄 경향을 완화하고 예방할 수 있는 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물론 어떤 효과적인 범죄예방 프로그램이 제시된다 하더라도 효과적일 것이라는 믿음을 얻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 볼티모어 경찰 대변인 스미스 역시 자신의 친형이 테이트보다 1주일 앞서 집에 침입한 괴한에 의해 살해됐을 정도다.
현지 언론이 전하는 바에 따르면 어떤 효율적 범죄예방 프로그램도 테이트처럼 애꿎은 피해자들의 죽음을 되돌릴 수는 없기 때문에 시민들의 낙담이 매우 큰 상황이라는 분위기다.
이는 시정부와 경찰을 믿고 기다릴 수 없던 시민들이 집적 나선 이유다. 실제 지난 주말 볼티모어 시민들은 자발적으로 ‘총기 금지(Cease-fire) 72시간 캠페인’을 벌였다. 물론 여전히 2건의 살인사건과 1건의 총기사고가 발생했다. 볼티모어 경찰청장 케빈 데이비스는 “범죄 예방을 위해 시민들이 직접 나서서 벌인 캠페인은 그것만으로도 이미 성공적이며, 실제 긍정적 결과로 이어졌다고 본다”면서 “이 캠페인이 계속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볼티모어의 불안한 치안 배경에는 가까운 과거에 대한 아픈 기억도 자리잡고 있다. 2015년 4월 경찰의 과잉 진압과 구류 과정에서 흑인 청년이 사망하면서 평화롭게 시작된 시위는 점차 폭력적으로 변했다. 300명 가까운 시민들이 체포됐고, 경찰들도 20명 이상 부상을 입었다. 결국 주방위군까지 투입되면서 이른바 ‘볼티모어 폭동’은 일단락됐지만 그 앙금은 여전히 남아있는 셈이다.
볼티모어시는 이미 지난달 강력한 총기규제법을 심의하고 있다. 이 법이 통과될 경우, 불법 총기를 소지하다 적발되면 집행유예 없이 최하 1년 징역형을 받는다. 또 교회나 학교 등 공공장소 100야드(약 91m) 안에서는 총기소지 자체가 금지된다.
현행 메릴랜드 주법은 불법 총기를 휴대하다 적발되면 첫 적발자에게는 30일의 징역형을 선고하지만, 법 집행을 유예할 수 있다. 치솟는 범죄율로 신음하는 미국 내 최악의 범죄도시, 볼티모어시 상황을 감안한 로컬 법이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