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는 ‘커플 테라피’라는 심리 상담이 인기다. “결혼 생활에 문제가 있어 부부 관계도 뜸해졌다”, “우리는 모두 관계를 회복하는 법을 몰라 이대로라면 이혼할 것 같다” 등 이런 고민을 안고 있는 부부들이 심리학 등을 전공한 치료사와 함께 앉아 해결의 실마리를 찾는 것이다.
과연 이들 남녀가 관계를 회복해 이혼하지 않게 될지는 누구도 상담 시작 단계에서 예측할 수 없다. 그런데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은 인공지능(AI)을 사용해 부부가 앞으로 이혼할지를 높은 확률로 예측하는데 성공했다고 국제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번 실험에서는 서로에게 스트레스가 심한 부부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조사 자료를 사용했다”면서 “그 결과 부부의 억양을 통해 관계를 예측한 것은 부부의 말과 행동을 상담사가 평가한 것과 같거나 그 이상으로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부부 134쌍이 서로 대화하는 음성 자료와 이들 부부의 관계가 얼마나 지속했는지를 확인한 자료를 기계 학습 알고리즘에 입력했다. 참고로 연구 도중 상담이 끝났거나 충분한 정보를 얻지 못한 일부 부부의 기록은 제외했다.
음성 자료에는 부부 양측이 얼마나 오래 대화했는지, 어느 시점에서 어떤 억양으로 말했는지 등이 포함됐다. 반면 실제 대화의 의미는 전혀 자료에 포함되지 않았다. 즉 순수한 음성과 관계 유지 기간을 자료로 입력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결과는 놀라웠다. 부부가 서로 무슨 말을 하는지 그 내용보다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거나 언성을 높이지 않고 말을 가로막지 않는 등 음성 유형으로 인간관계에 관한 여러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외국 영화를 자막 없이 볼 때 목소리만으로 어떤 관계에 있는지 예측할 수 있는 것과 비슷하다.
하지만 우리가 상상하는 것만큼 결과가 단순한 것은 아니다. 실제로 공개된 그래프는 관계를 회복한 부부(파란색 동그라미)와 그렇지 못한 부부(빨간색 동그라미)에 관한 목소리 높이(세로축)와 목소리 세기(가로축)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목소리 높이의 변화와 목소리 세기의 변화가 각각 흩어져 있는 만큼 긍정적인 결과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물론 AI는 왜 이런 관계가 되느냐를 설명하지 못하지만, 꽤 흥미로운 결과임이 분명하다. 목소리 높이도 크기도 계속 일정한 부부의 상담은 앞으로 이들이 이혼할 가능성이 있음을 상상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이런 AI의 목적은 부부에게 ‘당신들은 희망이 없다’는 결론을 내려주려는 게 아니다.
연구팀은 이번 논문에서 “목적은 정신건강 연구자와 임상의 등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판단을 내릴 때 참고할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분명 서로 관계를 회복하기 어려운 부부는 이견을 갖는다. 이에 따라 서로 합의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그때 이런 자료나 AI의 분석 결과로 “당신들이 서로 대화를 나눌 때의 목소리 톤은 이혼하는 연인들의 전형적인 예시”라고 조언하는 것만으로 변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도 있다.
상담사 자체가 로봇으로 바뀌는 세상이 되기까지는 아직 멀었지만 평소 자기 말투에 좀 더 신경을 써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임이 분명하다.
사진=ⓒ fizkes / Fotolia(위), PLOS ONE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