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 세계에서 가장 미스터리한 책으로 알려진 ‘보이니치 필사본’을 해독할 수 있을 거라는 주장이 나왔다.
보이니치 필사본은 탄소연대측정에 따라 15세기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책이다. 여러 그림 및 알려지지 않은 문자와 언어로 쓰여있다. 책의 이름은 1912년 당시 이 책을 입수한 사람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문서가 발견된 이후 많은 암호학자들이 이 문서를 해독하려 했지만 단 한 단어도 성공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보이니치 필사본은 암호학계의 성배로 불리는 동시에, 정교하게 만들어진 의미없는 내용이라는 주장도 있다.
캐나다의 AI 전문가 그레그 콘드랙 박사는 인공지능(AI)이 600년 간 풀리지 않은 미스터리한 책을 번역할 ‘구원투수’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지난해 '고수'들을 연이어 물리치면서 '포커계의 알파고'로 떠오른 AI ‘딥스택’(DeepStack)을 개발한 캐나다 앨버타대학의 컴퓨터공학과 AI연구소 소속이다.
콘드랙 박사는 최근 현지 언론과 한 인터뷰에서 “보이니치 필사본의 언어는 통계학적인 알고리즘을 통해 풀어낼 수 있다. 이 알고리즘은 유엔인권선언을 380개 언어로 번역할 때 97%의 정확성을 보인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당 알고리즘을 보이니치 필사본에 적용시킨 결과, 보이니치 필사본의 언어는 히브리어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음은 삭제돼 있고, 농부, 빛, 공기, 불 과 같은 단어들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콘드랙 박사는 보이니치 필사본의 일부가 여성의 건강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히브리어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있고, 동시에 역사가인 사람이라면 보이니치 필사본을 해독할만한 단서를 찾아내기에 유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다만 보이니치 필사본의 복잡성을 고려했을 때, AI의 해독능력뿐만 아니라 사람의 번역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