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수많은 추측을 불러 일으켰던 마야 제국의 멸망을 이끈 유력한 '용의자'가 정체를 드러냈다.
최근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연구팀은 지독한 가뭄이 마야 문명 멸망의 원인이라는 연구결과를 유명 학술지 '사이언스' 최신호에 발표했다. 영화의 소재로 등장할 만큼 신비로운 대상으로 여겨져 온 마야 문명은 기원전 2000년 전 부터 시작해 현재의 멕시코 남동부, 과테말라, 유카탄 반도 등을 중심으로 번창했다.
특히 마야 문명은 천문학과 수학이 발달해 수준높고 찬란한 문명을 일궜으나 특별한 이유가 밝혀지지 않은 채 사라졌다. 이에대해 학자들은 전염병과 외부 침입설, 주식인 옥수수의 단백질 부족설, 성행위 부진에 따른 자손번식 실패설, 화산폭발 원인설 등 다양한 이론들을 제기한 바 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세계 각국 연구진들은 그 원인으로 기후 변화에 의한 가뭄을 유력한 범인으로 꼽아왔다. 이번에 연구팀이 가뭄을 범인으로 지목한 '증거'는 치칸카납 호수 바닥의 침전물이다. 연구팀은 호수 바닥에 형성된 석고 결정 속의 물의 동위원소 비율을 조사해 당시의 기후를 재구성했다. 비가 오지 않아 호수에 고인 물이 증발할수록 무거운 미량 동위원소 비중이 높아지는 것에 착안한 것. 그 결과 마야 문명의 고전기에 해당되는 800~1000년 당시의 강우량은 평소보다 41-54%, 심지어 70%까지도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논문의 선임저자인 닉 에반스 박사는 "마야 문명과 관련된 역사적 기록이 제한적이라 가뭄에 의한 붕괴 주장은 그간 학계에서 논쟁적이었다"면서 "이번 연구는 이에대한 구체적인 데이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상당한 진전"이라며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기후변화는 농경사회였던 마야 문명에 치명적으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가뭄에 의한 마야 문명 멸망 주장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4년 전에도 미국 라이스 대학 연구팀은 마야 문명은 약 100년 간에 걸친 지독한 가뭄 때문에 사라졌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었다. 해저동굴인 ‘그레이트 블루홀’의 바위 샘플 침전물을 분석해 얻은 이 결과에서 연구팀은 800-900년 사이 극심한 가뭄이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지난 2012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 역시 마야문명의 발상지인 멕시코 일대 동굴에서 수집한 석순에서 강수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가뭄이 수백 년간 지속되면서 멸망에 이르게 됐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