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가 유충이었을 때 물 속에서 먹은 미세 플라스틱이 성충이 돼도 몸 속에 축적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미세 플라스틱이 먹이사슬을 통해 인체에 들어오는 또다른 유입 경로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국 리딩대 어맨다 캘러헌 교수팀은 모기 유충 150마리를 대상으로 먹이 활동을 통해 섭취한 미세 플라스틱이 성충이 되고 죽을 때까지 얼마나 남는지를 조사했다고 국제 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 최신호(19일자)에 발표했다.
조사 방법은 이들 모기가 유충이었을 때 무작위로 15마리를 뽑아 몸 속에 쌓인 미세 플라스틱 양을 확인하고 나머지 모기 유충이 성충이 됐을 때도 같은 방식으로 15마리를 선정해 미세 플라스틱이 얼마나 남아있는지 확인했다.
그 결과, 미세 플라스틱 입자는 모기가 성충이 돼도 대부분이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기를 잡아먹는 상위 포식자들도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문제는 모기 외에도 잠자리처럼 유충 시절에는 물 속에서 먹이를 섭취하고 성충이 되면 물 밖으로 나와 생활하는 곤충이 많다는 것이다. 이는 이런 곤충을 먹이로 삼는 새나 박쥐, 또는 거미 등 포식자들 몸에도 미세 플라스틱이 점점 쌓인다는 뜻이다.
이같은 유입 경로는 지금까지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고 캘러헌 교수는 말한다.
비록 이번 연구는 실험실 환경에서 모기를 관찰한 것이지만 연구팀은 이런 과정이 이미 야생에서 일어나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한다.
한편 미세 플라스틱은 합성 섬유나 타이어 또는 콘택트렌즈 같이 우리 인간이 만든 물건에서 떨어져 나온 작은 파편으로 이미 전 세계 모든 바다에서 발견되고 있다.
사진=marcinsl1987 / 123RF 스톡 콘텐츠(왼쪽), 바이올로지 레터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