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하이파 대학의 모쉐 기쉬 박사는 진딧물에 대해서 연구하던 중 독특한 사실을 발견했다. 다 큰 진딧물 위에 작은 새끼 진딧물이 올라타 있는 것이다.(사진) 이런 모습은 식물에서 수액을 빨아먹을 때는 볼 수 없기 때문에 연구팀은 그 이유를 조사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예상하지 못했던 진딧물의 상생 협력이 밝혀졌다.
가축이나 혹은 다른 초식동물이 식물을 먹는 경우 이 식물은 물론 이 식물에 기생하던 진딧물 역시 위험한 상황에 직면한다. 진딧물은 살기 위해 바닥으로 뛰어내리는데, 설령 늦지 않게 뛰어내렸다고 해도 새로운 숙주를 찾아 이동하는 일은 만만치 않은 과제다. 특히 작은 흙덩이도 지나가기 힘든 어린 개체는 더 위험하다. 하지만 이때 어른 등에 올라탄다면 어린 개체의 생존 가능성은 훨씬 커진다.
그런데 사이좋게 올라탄 똑같이 생긴 진딧물을 보고 있으면 당연히 어미 자식 관계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할 수 있다. 연구팀은 다음 단계로 이들의 관계를 조사했다. 야외에서 채집한 진딧물을 실험실로 가져와 테스트한 결과 놀랍게도 성체 진딧물은 혈연관계와 관계없이 등에 새끼를 태웠으며 이를 떨쳐내려고 하지도 않았다. 그야말로 어려운 상황에서 일단 서로 돕고 보는 진딧물의 상생 협력이다. 아마도 이런 과정을 통해 진딧물 군집 전체가 자손을 남길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물론 이 과정을 통해 식물에 더 피해를 주기 때문에 인간 입장에서는 감탄만 할 순 없겠지만, 작고 힘없는 곤충도 서로 돕고 산다는 사실은 매우 흥미롭다. 진딧물은 약해 보이지만, 사실 매우 성공한 곤충으로 5,000여 종에 달하는 진딧물이 지구 곳곳에서 나름의 생존 전략을 가지고 살아간다. 이들을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해충 구제는 물론 생물의 다양한 적응과 진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