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를 보다

[우주를 보다] 불과 1마일 거리…오시리스-렉스가 촬영한 소행성 베누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소행성 베누의 모습. 사진출처=NASA/Goddard/University of Arizona/Lockheed Martin
태양계 형성의 비밀을 풀기위해 소행성을 탐사 중인 오시리스-렉스(OSIRIS-REx)가 불과 1마일 거리에서 촬영한 ‘베누’(Bennu·1999 RQ36)의 모습을 보내왔다.

최근 미 항공우주국(NASA)은 오시리스-렉스가 베누 표면 기준 1.6㎞ 거리에서 촬영한 남반구 모습을 사진으로 공개했다. 이 사진은 지난 17일 오시리스-렉스에 탑재돼 있는 카메라(NavCam 1)를 사용해 촬영한 것으로 가까운 거리만큼이나 생생한 베누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확대보기
▲ 소행성 베누의 모습. 사진출처=NASA/Goddard/University of Arizona/Lockheed Martin
이에앞서 지난달 초 오시리스-렉스는 베누에 도착했으며 현재는 그 궤도를 진입해 비행 중이다. 소행성 베누는 지름이 500m 정도의 작은 소행성으로, 지구에서 1억 3000만㎞ 떨어진 곳에서 태양 궤도를 돌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소행성이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 더 나아가 생명의 기원인 유기물의 출처에 대한 정보까지 가지고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 특히 베누는 2135년에 지구와 충돌할 확률이 2700분의 1에 달하는 위험한 소행성 중 하나로 꼽혀 전문가들의 관심을 모았다.


NASA 측은 "베누의 표면 특징을 더 잘 드러내기 위해 이미지가 일부 가공된 것"이라면서 "베누의 표면을 완벽하게 지도화해 안전하게 미션을 수행할 준비를 하고있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2016년 9월 발사된 오시리스-렉스는 단순히 베누의 궤도를 돌며 연구하는데 그치지 않는다.

향후 오시리스-렉스는 표면까지 하강해 로봇팔을 쭉 뻗어 샘플을 채취해 지구로 가져온다. 2020년에는 표면의 샘플을 60g이상 채취하며 이듬해에는 다시 지구로 귀환한다. 지구 도착은 2023년 9월로 샘플을 담은 캡슐은 낙하산을 이용해 미국 유타 주에 떨어진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추천! 인기기사
  • ‘친할아버지, 친부, 친삼촌’이 14세 소녀 강간, 임신 2
  • ‘천한 계급’ 10대 소녀, 64명에게 강간당해…“영상·사진
  • “성형수술 하느라 자리 비운 대통령, 탄핵해야”…검찰 조사
  • 월척인줄…필리핀 어부, 해상서 중국 것 추정 ‘수중 드론’
  • 가슴 크기 4배로 커진 여성, 원인은 코로나 백신?…“세계
  • ‘어머니·여동생 4명’ 총 5명 잔혹하게 살해한 男, 아버지
  • 잠옷 차림으로 체포된 대통령 누구?…‘현직 대통령 체포’ 사
  • 양심도 타버렸나…‘지옥 산불’ 찍으려 날린 드론, 소방 항공
  • 또 죽은 새끼 머리에 이고…죽은 자식 안고 1600㎞ 이동한
  • ‘미성년자 강제 성관계·임신’ 前 대통령, 재집권 가능?…“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