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끼 코끼리는 독일 하노버 동물원 출신인 16년령 암컷 인도코끼리 ‘파리나’와 2010년부터 패리 다이자자에서 사육되고 있는 18년령 수컷 인도코끼리 ‘포 친’ 사이에서 태어났다. 동물원 측에 따르면 이번에 태어난 새끼 코끼리는 지난 2017년과 올 2월에 태어난 새끼에 이어 ‘포 친’의 유전자를 물려받은 세 번째 코끼리다.
로이터통신은 갓 태어나 아직 양막도 채 벗겨지지 않은 새끼 코끼리가 어미의 도움에도 쉽사리 걸음마를 떼지 못하고 주저앉기를 반복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얼마 가지 않아 무리에 섞인 새끼 코끼리는 어미의 다리에 꼭 달라붙어 아장아장 서툰 발걸음을 내디뎠다고 설명했다. 패리 다이자에는 20마리의 코끼리가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있는데 이는 유럽 내 인도코끼리 무리 중 가장 큰 규모다.
인도코끼리는 환경 파괴로 서식지가 감소하면서 1986년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됐다. 인도와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등지에는 아직 야생 개체가 남아 있지만 파키스탄에서는 자취를 감춘 상태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에 생존해 있는 인도코끼리는 3만8000마리에 불과하다. 패리 다이자 사육사 코치나는 “멸종위기에 처한 인도코끼리의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새끼의 탄생, 그것도 암컷의 출산은 괄목할 만한 성과”라고 말했다.
한편 65헥타르에 이르는 패리 다이자에는 약 4000여 마리의 동물이 살고 있다. 지난 2009년 유럽 최초로 인도 정부에게 수마트라 코끼리 한 쌍을 대여받았으며, 2014년에는 리커창 중국 총리와 엘리오 디 루포 당시 벨기에 총리의 협약에 따라 자이언트 판다 2마리를 기증받았다.
사진=로이터통신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