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AA는 과거 북태평양 연안에 형성됐던 ‘블럽’(The Blob), 즉 이상 고온 해역이 새롭게 형성되면서 해양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고 전했다. 2013년 말 처음 감지된 ‘블롭’은 2015년까지 계속 확산되다 2016년 말 사실상 소멸된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지난 6월 중순 이 해역에서 새로운 해양 열파가 감지되면서 ‘블롭’의 악몽이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당시 해양 열파로 생성된 ‘블롭’ 때문에 연어 폐사가 잇따르면서 연어를 주식으로 하는 바다사자 역시 사지로 내몰렸다. 먹이를 찾지 못한 바다사자들은 뜨거운 바닷물을 피해 해변까지 올라와 어슬렁거렸으며, 바다가 해조류로 뒤덮이면서 꽃게잡이와 조개잡이는 사실상 중지됐다.
그럼 이 광범위한 해양 열파는 앞으로 얼마나 더 지속될까. NOAA 네이트 만투아 연구원은 “낙관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드라마틱한 기후 변화로 상황은 달라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이상 고온 현상이 지속되면 5년 전 혼란이 재현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열파의 영향력이 심해까지 전파되는 것 역시 문제다. 지금까지 열파의 영향력은 대부분 해수면으로부터 50m까지 제한됐다. 그러나 만투아 연구원은 “이상 고온 현상이 1~2년 동안 지속된다면 열파는 더 깊은 바다까지 침투해 생태계의 변화를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비관했다.
NOAA는 일단 이번 열파 현상을 ‘2019 북동태평양 해양열파’로 지정하고, 흐름을 주시하는 한편 열파가 어업 등에 미칠 영향에 대비해 관련 기관 및 어업 종사자들과 수시로 정보를 공유할 것이라고 밝혔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