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일반

공룡도 잡아먹은 ‘10m 괴물 악어’ 화석 발견…2억 년 전 생존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공룡도 잡아먹은 ‘10m 괴물 악어’ 화석 발견…2억 년 전 생존
약 2억1000만 년 전 중생대 트라이아이스기 후기에 생존한 고대 악어의 화석 연구가 당시 세계를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확대보기
▲ 연구진은 남아프리카 엘리엇층 하부에서 발굴된 라우이수쿠스목 화석을 자세히 연구했다.(사진=아프리카 지구과학회지)
남아프리카공화국 비트바테르스란트대 연구진이 남아프리카에 있는 엘리엇층 하부에서 발굴된 라우이수쿠스목(Rauisuchia)에 속하는 적어도 두 종의 고대 악어 화석을 분석한 결과 이들이 초식 공룡을 잡아먹고 살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런 발견은 특정 초식 공룡들이 대형 육지 공룡으로 진화해 지구의 지배자가 될 수 있었던 이유가 이들 초기 공룡을 잡아먹던 라우이수쿠스목과 같은 포식자들이 어떤 이유로든 멸종했기 때문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라우이수쿠스목은 오늘날 악어의 먼 친척뻘로 이런 고대 종이 이 집단의 가장 큰 육식 동물 중 하나인 것으로 전해졌다.

확대보기
▲ 라우이수쿠스목의 이빨은 톱니 모양의 구부러진 형태다.(사진=비트바테르스란트대)
이들 포식자는 몸길이가 10m에 달했고, 톱니 모양의 구부러진 이빨로 가득한 거대한 두개골을 갖고 있었다.

연구진은 라우이수쿠스목 화석의 새로운 발굴을 통해 이들 종을 자세히 조사하고 있었다.

확대보기
▲ 릭 톨차드 연구원을 비롯한 연구진은 라우이수쿠스목 화석을 분석해 이들 종이 초기 초식 공룡을 잡아먹고 살았다는 것을 밝혀냈다.(사진=비트바테르스란트대)
이에 대해 연구를 주도한 릭 톨차드 연구원은 이들 포식자는 초기 초식 공룡들과 당시 번성한 포유류 근연종을 잡아먹었다고 말했다.

확대보기
▲ 두 종의 라우이수쿠스목이 먹잇감인 초기 초식 공룡을 두고 대립하고 있는 모습.(사진=빅터 라더마허)
또 “이런 고대 화석은 적어도 두 종의 포식자가 어떻게 2억1000만 년 전에 초식 공룡들을 사냥했는지에 관한 증거를 제공한다”면서 “당시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화석화된 치아와 턱 조각, 뒷다리뼈 등에 남겨진 단서를 이해하는 것은 정말 놀랍다”고 말했다.

또한 이 연구는 당시 라우이수쿠스목이 이들 집단 중 가장 최근에 생존한 종들 중 일부라는 점과 당시 남극권 근처에서 번성했다는 것을 밝혀냈다.

지금까지 트라이아스기에 생존한 라우이수쿠스목은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번성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톨차드 연구원은 설명했다.

이어 “이들이 약 2억 년 전 멸종한 덕분에 공룡들이 지구를 지배하는 동물이 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면서 “이번 화석 덕분에 초식 공룡들을 잡아먹은 종이 무엇인지가 밝혀졌고 일단 라우이수쿠스목이 멸종하자 초식 공룡들은 위협 없이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자세한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아프리카 지구과학회지’(Journal of African Earth Sciences) 온라인판 최신호에 실렸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3세 여아 강간·살해한 男…“산 채로 사지 부러뜨리고 버렸다
  • 3500년 전 매장된 ‘잘린 손 12개’ 비밀 밝혀졌다
  • 거대한 고래상어 기절시켜 간 만 ‘쏙’…범고래의 특별 사냥법
  • 교사가 학생 1000여명 강간, 학대 사진 50만 장 남겨…
  • 도토리 먹던 다람쥐가…들쥐 사냥해 먹는 ‘육식 포식자’ 된
  • 지구의 물, 어디서 왔나…NASA, ‘이 혜성’이 가져왔다
  • 제자리 빙빙돌던 서울 6배 크기 ‘세계서 가장 큰 빙산’ 족
  • 동물 50만 마리, 한꺼번에 목 잘라…“신께 바치는 제물”
  • 클레오파트라의 실제 얼굴일까?…이집트서 추정 흉상 발견
  • 10대 남녀, 두바이서 ‘사랑’ 나눴다가 징역 20년형 위기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