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일반

하루 330원으로 살다 영양실조 걸린 中 20대 여성 사연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중국에서 부모 없이 아픈 남동생을 돌봐온 20대 여성이 생활비를 아끼기 위해 끼니를 거르다시피 하다가 영양실조로 쓰러져 병원에 실려 간 안타까운 사연이 세상에 공개돼 많은 사람의 눈시울을 붉게 만들었다.

영국 BBC뉴스 등 외신은 인민일보를 인용해 이달 초 구이저우성의 한 병원에 실려 온 24세 여대생의 속사정이 공개된 뒤 여성을 돕겠다는 문의가 쇄도해 많은 기부금이 모였다고 전했다.


입원 당시 키 135㎝, 몸무게는 간신히 20㎏을 넘겨 아이처럼 보였다는 안타까운 사연의 주인공은 첸난부이족먀오족자치주의 한 대학에 다니고 있는 우화옌(24)양. 네 살 때 어머니를 여읜 우양은 2014년 아버지마저 간경변으로 세상을 떠나 홀로 아픈 남동생을 돌봐야 했다.

학자금 대출을 받아 대학에 다니고 있던 우양은 교내에서 급수시설 청소와 강사 보조로 아르바이트를 해서 매달 600위안(약 9만9000원)의 수입을 올리는 데다가 할머니와 삼촌 부부로부터 매달 300위안(약 4만5000원)을 지원받고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 돈은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남동생의 의료비로 써야 해서 그녀는 하루에 단돈 2위안(약 330원)의 빵 1개나 고추를 넣은 밥을 먹는 생활을 5년째 이어오고 있었다.

그러던 최근에서야 마침내 우양의 몸이 이상 신호를 보였다. 갑자기 우양은 호흡곤란에 빠져 병원에 입원했다.

보도에 따르면, 우양은 영양실조 외에도 심장과 신장에 질환이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탈모 증상으로 인해 눈썹이 빠졌으며 귀 울림증과 불면증에 시달려온 것으로 확인됐다.

확대보기
이같은 사연이 현지에서 보도되자 SNS상에서는 “이건 아프가니스탄 난민보다 심하지 않은가” “건국 70주년 기념식에 막대한 돈을 쓰는 것보다 이런 사람을 도와주는 게 낫겠다” 등의 의견이 쏟아졌다.

그뿐만 아니라 우양에 대해 지원하겠다는 사람들이 나왔는데 현지 마을 주민들은 기부금 3만 위안(약 495만원)을 모았고, 그녀가 다니는 대학의 교수들과 학생들로부터 4만 위안(약 660만원)을 모아 우양에게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또 정부 관계자는 우양은 일찌기 국가로부터 최저 보조금을 받고 있었다고 밝혔다. 보조금은 매달 300~700위안(약 4만9500~11만5000원)으로 여겨지고 있지만, 이번 소식으로 우양은 긴급 구호 기금으로 2만 위안(약 330만원)을 받게 됐다.

이 밖에도 SNS 등에서는 우양을 걱정하는 사람들의 권유로 기부금이 모였는데 그 합계액은 80만 위안(약 1억3200만원)에 달한다고 영국 인디펜던트가 전했다.

하지만 구이저우성은 중국에서도 가난한 지역으로 꼽히고 있으며, 우양과 같은 사례는 “빙산의 일각”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아내가 여행 가서 가능”…6~14세 딸 강간·촬영·공유한
  • “옆자리에 ‘죽은 사람’이 앉았어요”…4시간 함께 비행기 탄
  • (영상) 클럽서 춤추고 돈 뿌리고…트럼프 ‘가자 홍보’에 비
  • 美 여행 한국인 여성 3명 실종…‘22중 연쇄 추돌사고’가
  • 점령할 때는 좋았는데…결국 우크라이나에 ‘수렁’ 된 러 쿠르
  • 손 잘린 시신 9구, 고속도로에서 발견…“카르텔 조직의 ‘보
  • “어떤 곳이든 30분내” 美 차세대 ICBM ‘센티넬’ 지상
  • “검사하게 옷 벗고 뛰세요” 여성 환자 불법 촬영한 의사 체
  • 귀엽지가 않아…미국서 잇따라 포착된 ‘거대 금붕어’ 원인은?
  • (영상) 트럼프 다리, 왜 이래?…휜 다리로 절뚝거리는 모습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