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디나통신 등에 따르면 신전이 발견된 곳은 페루 북서부 람바예케 지역이다. 페루 툼바스박물관의 고고학발굴팀은 신전과 함께 묘 21기를 함께 발견했다. 발견된 신전은 50×40m 규모로 조각된 바위들로 만들어졌다. 신전 건축에 사용된 바위의 무게는 최대 3톤에 이른다.
박물관장 왈테르 알바는 "지역조건을 볼 때 신전을 세우는 데 사용된 바위들은 적어도 1.5km 이상 떨어진 곳으로 운반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3000년 사람들이 큰 바위덩이를 굳이 이곳까지 옮겨 신전을 세운 건 지리적 특징 때문이다.
신전이 발견된 곳은 '팅쿠이'라고 불리는 곳으로 2개의 강이 만나는 곳이다. 강이 만나는 곳은 고대 문명에서 '성스러운 장소'로 여겨지곤 했다. 신전은 '물의 신'을 섬기기 위해 만든 것이었다.
이를 입증하는 게 신전 앞부분에서 발견된 구멍 난 제단이다. 구멍 난 제단은 물을 숭배하는 종요의식을 거행할 때 사용된 시설이다.
신전은 3단계에 걸쳐 점진적으로 건축된 것으로 보인다. 점토와 작은 돌로 터를 닦은 뒤 거대한 바위를 세워 2단계 공사를 마무리했다. 마지막 단계에선 점토로 기둥을 세우고 넓은 뜰을 만들었다. 3단계 공사의 흔적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페루 고고학계는 발견된 신전이 차빈문명 때 지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건축 양식에 차빈문명의 강한 영향력이 배어있다는 것이다.
신전과 함께 발견된 21기 묘에선 세라믹과 철로 만든 칼, 투푸스(잉카시대 때 여인들이 사용하던 장식품) 등이 발견됐다. 어린이가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구리반지도 묻혀 있었다.
발굴된 소장품은 신전에 대해 소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게 발굴팀의 설명이다.
왈테르 알바는 "묘지에서 발견된 소장품을 보면 신전이 약 2000년 동안 사용되지 않았던 사실을 추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발굴팀에 따르면 발견된 묘 21기 중 신전과 동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건 단 1기뿐이다. 나머지는 적어도 2000년 후에 만들어진 묘로 보인다. 발굴팀은 21기 묘에서 발굴한 부장품에서 이런 시간적 차이를 추론해냈다.
왈테르 알바는 "람바예케 지역에서 꽃피운 문명을 연구하는 게 유적과 유물이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손영식 해외통신원 vonis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