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타임스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영국 버밍엄대학의 서빈 리 교수팀은 2017년 아이티에서 3개월 동안 유엔 기지 근처에 사는 사람들 2500여명과 인터뷰를 진행하는 등 여러 방면에서 조사한 보고서를 통해 위와 같이 밝혔다.
이에 대해 리 교수는 더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유엔 평화유지군에 의해) 임신한 여성 중 대다수는 정치적 격변과 지진이라는 자연재해의 결과로 살아남으려 자신의 성(性)을 음식이나 동전 몇 푼과 바꾼 미성년자인 소녀들이었다”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 2010년 1월 아이티에서 강진이 일어난 뒤 무려 13년이라는 가장 오랜 기간 치안을 회복하고 선거를 포함한 민주적 정치 과정의 복구 지원, 난민 귀환을 비롯한 인권 옹호 활동을 펼쳐온 유엔 평화유지군이 미친 광범위한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아이티 사람들은 유엔 평화유지군을 생물학적 아버지로 둔 아이들에게 프랑스어로 어린이라는 뜻의 쁘띠(Petit)와 ‘유엔 아이티 안정화 임무’의 약자인 미누스타(MINUSTAH)를 합쳐 “쁘띠 미누스타’라고 부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리 교수는 이 보고서를 통해 “11살밖에 되지 않은 소녀들은 유엔 평화유지군에 의해 성적 착취를 당해 임신했으며, 이들 소녀는 홀로 아이를 키우느라 비참한 처지에 놓여 있었다”고 언급했다.
보고서는 또 우루과이와 칠레, 아르헨티나, 캐나다 그리고 프랑스 등 12개국에서 온 군인들이 현지 여성들을 임신시킨 것으로 밝혀졌다고 명시했다.
이에 대해 리 교수는 대부분의 연구자와 비정부기구(NGO) 관계자 역시 유엔 평화유지군에 의해 태어난 아이들이 수백 명에 달한다는 추정치에 동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널리 퍼져 있는 문제이지 드문 사례는 아니다. 성적 착취와 학대 그리고 유엔 평화유지군을 아버지로 둔 아이들이 태어나고 버려졌다는 점이 여러 이야기에서 반복해서 나타났다는 사실은 이것이 매우 심각한 문제임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아이티에서의 유엔 평화유지군의 임무는 예전부터 논란에 시달려 왔다.
2010년에는 평화유지군의 일원으로 주둔한 네팔군 기지로부터 콜레라가 퍼지면서 아이티 전역에서 약 1만 명이 사망하는 참극이 빚어졌다.
또한 2004년부터 2016년까지 평화유지군이 저지른 150건의 성폭행과 성 착취가 보고됐었다. 가해자로 지목된 평화유지군의 파견국은 방글라데시, 브라질, 요르단, 나이지리아, 파키스탄, 우루과이, 스리랑카 등이었다. 아이티에 파견된 스리랑카 소속 평화유지군 중 최소 134명이 2004년부터 2007년 사이에 9명의 어린이를 성 착취했다. 이런 혐의로 114명의 평화유지군이 본국으로 송환됐으나 단 한 명도 처벌받지 않았다.
아이티에서 성 착취 스캔들을 일으킨 이들은 평화유지군만이 아니었다. 영국 기반 국제구호단체 옥스팜의 직원들이 구호 활동 중에 성매매했다는 폭로가 나왔었기 때문이다. 당시 1년 반 동안 옥스팜 스캔들과 관련해 강도 높은 조사를 진행한 영국 자선감독위원회는 결과 보고서를 통해 2011년 당시 옥스팜 내부에서 문제가 제기됐음에도 성 학대 피해자들에게 끼칠 영향과 위험이 부차적으로 다뤄진 것으로 보인다고 결론 내렸었다.
사진=AFP 연합뉴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