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현지시간) AFP통신 등 외신은 스리랑카 반다라나이케 국제공항에서 신원이 공개되지 않은 한 중국인(30)이 야생동물 밀수 혐의로 체포됐다고 보도했다.
사건이 벌어진 것은 지난 13일로, 당시 중국인은 플라스틱 상자 속에 전갈 200마리를 몰래 싣고 스리랑카 공항을 통과해 중국 광저우로 가려다 공항 세관원에게 적발됐다. 놀라운 사실은 이 전갈들이 모두 독이있으며 살아있는 상태라는 점. 공항 세관 담당자는 "문제의 중국인은 세계 여러나라에서 야생동물을 구매해 중국으로 가져가 팔아온 것으로 드러났다"면서 "우연히 운전기사를 통해 정보를 얻어 이 남성을 체포했으며 조사 후 벌금을 내고 석방됐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왜 이 중국인은 독이 있는 전갈을 밀수하려 했을까? 이에대해 해외 언론은 전갈의 독을 추출해 약재로 쓰는 중국의 민간요법 때문으로 보고있다. 외신은 "스리랑카는 엄격한 야생동물법이 있지만 밀매 시도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면서 "중국 밀수꾼들이 표적으로 삼는 대표동물이 바로 천산갑"이라고 보도했다.
산을 뚫는 갑옷이라는 의미의 천산갑(穿山甲)은 예부터 중국에서 약재로 인기가 높았다. 멸종위기종으로 국제법상 거래가 금지돼 있음에도 천식이나 류머티즘, 암, 콩팥 질환 등에 효과가 있다는 믿음 때문에 밀수가 끊이지 않고 있다. 홍콩에서는 비늘 1그램당 1달러에 거래될 정도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