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중국

[여기는 중국] 아빠가 핸드폰에 한 눈 판 사이…5세 아들 구덩이에 빠져 사망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스마트폰 메시지에 한 눈을 판 사이 5세 외동 아들을 잃은 아버지의 안타까운 사연이 전해졌다. 지난 16일 중국 현지언론은 쓰촨성(四川) 이빈시 창닝현(宜宾长宁县)에 거주하는 황 씨가 지난 12월 30일 아들 샤오황 군을 잃는 사고를 당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언론에 따르면, 샤오황 군에 대한 실종 사고가 관할 공안국에 신고됐던 당일, 황 씨는 중국판 카카오톡으로 알려진 위챗으로 전달받은 메시지를 확인하고 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아들과 함께 결혼식장에 참석했던 황 씨가 지인들로부터 받은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한 눈을 판 사이 아들이 갑자기 사라졌다는 것. 이에 황 씨의 신고를 받고 출동한 관할 공안국 측은 실종 지점으로부터 사방 5㎞를 수색했으나 사라진 샤오황 군에 대한 단서를 찾지 못했다.

하지만 실종 신고가 있었던 날로부터 10일이 되던 지난 9일 오후, 인근 중학교 운동장에서 확장 공사 중이던 공사장 인부들에 의해 싸늘하게 식은 샤오황 군의 시체가 발견됐다.

공사장 인부들은 며칠 전부터 계속된 원인 모를 악취로 고통을 받던 중, 공사장 한 켠에 있던 구덩이에서 숨진 샤오황 군을 발견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사장 인부들에 따르면, 이 구덩이에는 샤오황 군의 시체가 잠길 분량의 물이 고여 있었는데, 이 일대를 걷던 샤오황 군이 구덩이에 빠진 뒤 미처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익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해당 공사장은 샤오황 군이 실종된 최초 장소인 결혼식장으로부터 약 300m 가량 떨어진 가까운 지점이었다는 점에서 안타깝다는 의견이 모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 신고가 접수된 관할 공안국과는 불과 100m 지점, 출동한 공안국 관계자들이 반복해서 수색한 주요 지점과도 약 30m 안팎의 거리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피해 황 씨는 “공사장에 미쳐 치워지지 않은 흙더미와 울타리가 있는 탓에 우리는 그 내부에 아이가 사고를 당할 만한 구덩이가 있는지 여부를 인지하지 못했다”면서 “우리가 만약 공사장 내부에 구덩이가 있는지 여부를 알았다면 우리는 그곳부터 수색했을 것”이라며 안타까운 마음을 전했다.


한편, 해당 공사장 관리소 측은 유가족에게 샤오황 군의 죽음과 관련한 경제적 보상을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이들은 추가 사고 방지를 위해 공사장 인근에 CCTV를 설치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 같은 방침에 대해 아버지 황 씨는 “길에 카메라를 설치하는 등의 후속조치가 우리 가족들에게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공사장 관리소 측에서 경제적 보상을 약속했지만, 아무리 많은 돈과 보상을 해준다고 해도 우리는 바꿀 수 없는 아들을 잃었다”고 비판했다.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친할아버지, 친부, 친삼촌’이 14세 소녀 강간, 임신 2
  • ‘천한 계급’ 10대 소녀, 64명에게 강간당해…“영상·사진
  • “성형수술 하느라 자리 비운 대통령, 탄핵해야”…검찰 조사
  • 월척인줄…필리핀 어부, 해상서 중국 것 추정 ‘수중 드론’
  • 가슴 크기 4배로 커진 여성, 원인은 코로나 백신?…“세계
  • ‘어머니·여동생 4명’ 총 5명 잔혹하게 살해한 男, 아버지
  • 잠옷 차림으로 체포된 대통령 누구?…‘현직 대통령 체포’ 사
  • 양심도 타버렸나…‘지옥 산불’ 찍으려 날린 드론, 소방 항공
  • 또 죽은 새끼 머리에 이고…죽은 자식 안고 1600㎞ 이동한
  • ‘미성년자 강제 성관계·임신’ 前 대통령, 재집권 가능?…“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