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난징대 뇌과학연구소, 캘리포니아 벅 노화연구소, 미국 MDI생물학 연구소 등이 모인 다기관 합동 연구진(MDI Biological Laboratory)은 ‘예쁜꼬마선충’이라고 불리는 벌레에게서 수명을 5배 늘릴 수 있는 세포 경로를 발견했다.
예쁜꼬마선충은 몸길이 1mm에 불과한 작은 선형동물로, ‘불로장생의 비밀’을 지닌 벌레로도 익히 알려져 있다. 수명이 3-4주 정도로 짧아서 노화와 수명을 연구할 때 빈번하게 이용된다.
사람과 많은 유전자를 공유하는데다 극한의 환경에서도 살아남는 생명력을 가진 덕분에 우주로 보내져 다양한 프로젝트에 활용되기도 했다.
연구진은 예쁜꼬마선충의 몸에서 미토콘드리아와 세포의 노화에 관여하는 경로를 찾아낸 뒤 이를 변형시킨 결과, 3~4주에 불과한 수명을 15~20주까지 늘리는데 성공했다.
연구진이 주목한 것은 수명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인슐린신호전달체계(IIS) 및, 영양신호전달경로(TOR)이며, 이 시스템들을 유전적으로 변형시키자 수명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일반적으로 인슐린신호전달체계를 변화시킬 경우 수명이 2배 가량, 영양신호전달경로를 변형시킬 경우 30%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연구 초기 당시 두 경로를 모두 변화시킬 때 수명이 최대 130%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지만, 실제 결과는 5배 이상이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이러한 결과를 인간에 적용한다면 수명이 4~5배 증가해 400~500세에 이를 수 있다”면서 “세포 노화와 관련한 다양한 경로를 동시에 변형시키는 것이 폭발적인 수명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명 연장의 경로를 파악함으로써 늙거나 병들지 않는 100세 시대를 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미국에서 발행되는 국제학술지인 셀 리포트(Cell Report)에 실렸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