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두는 중국판 ‘구글’로 불리는 대표적인 포털사이트다. 일평균 방문자 수가 지난 2018년 기준 7억 명을 넘어선 바 있다.
무료 의료 상담 서비스 앱 ‘짜이셴원이셩’은 오프라인 상에서 직접 찾아 갈 수 없는 먼 거리의 병원 서비스를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 사례로 꼽힌다. 특히 ‘바이두’가 이번에 직접 개발 및 투자에 참여했다는 점에서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 바이두 측은 최근 신종코로나 전염 문제로 각 도시별로 봉쇄 조치가 내려진 상황에서 의료 상담이 필요한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이 같은 무료 서비스를 시작한 셈이다.
실제로 이번 신종코로나 상담과 관련, 이용자는 앱 상단의 검색창에 ‘폐렴’, ‘신종코로나’라고 검색하면 당일 확진자 수와 사망자, 감염 의심자 수 등 최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앱’은 이용자 누구에게나 ‘의사에게 상담 신청하기’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모든 의료 상담 서비스는 24시간 대기 중인 의료진에 의해 빠른 상담이 가능하다.
특히 바이두 측은 의학 전문 지식을 갖춘 의료진을 영입하기 위해 최근 △웨이이(微医) △핑안하오이성(平安好医生) △춘위이성(春雨医生) △추안커이성(全科医生) 등과의 협업을 약속했다.
이에 대해 현지에서는 웨이이(微医)와 바이두의 협업 소식에 이목이 집중되는 분위기다. ‘웨이이’는 중국의 플랫폼 기업 중 최초로 온라인 병원을 설립한 업체로 알려져 있기 때문. 이들은 지난 2015년 12월 절강성에서 문을 연 이후 중국 최초의 ‘온라인병원’이라는 명성을 얻은 바 있다. 주로 온라인 진료 접수와 모바일 의료 상담 등을 진행하는 ‘웨이이’와 긴밀한 협약을 맺은 병원은 전국적으로 약 4000곳, 2만 곳의 약국 등이 포함돼 있다.
또한 상하이중의약대학 부속 병원으로 유명세를 얻은 ‘핑안하오이셩’과의 협업도 화제다. 해당 업체와의 협업으로, 바이두의 의료진 서비스 가운데는 중의약 전문 상담이 추가됐기 때문이다. 현재 해당 앱 내에는 약 1000명에 달하는 의료진이 상담 서비스를 제공해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잇다.
뿐만 아니라 바이두 측은 다양한 업체들과의 협업을 통해 앱 이용자는 누구나 거주지 인근의 가장 가까운 긴급 진료 센터를 안내 받을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만일의 경우 신종코로나와 관련한 거점 병원과 병동 상황, 병원까지의 길 안내 서비스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 셈이다.
특히 바이두는 이용자 각 개인이 활용한 온라인 진료 및 상담 비용에 대해 전액 무료로 지원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협업한 업체 및 의료진에 지불해야 하는 비용 일체에 대해 바이두가 전액 지불하겠다는 것.
바이두 관계자는 “지난 23일 당국에 의한 우한시 봉쇄령이 전해지면서 많은 주민들이 우한 시 일대에서 오도 가도 못하는 상황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의료 서비스가 가장 필요한 우한 시 거주민들이 온라인을 통해서라도 전문가의 의료 서비스를 쉽게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싶어서 이 같은 앱을 공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