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베스 장관은 청소년들이 이른 나이에 성관계를 갖는 건 사회 분위기 때문이라는 해석을 내놓기도 했다. 그는 “청소년들이 빨리 성관계를 가져야 한다는 부담을 느낀다”며 “청소년들이 성관계를 하는 데는 사회적 압력이 작용한다”고 말했다.
브라질 정부가 돌연 청소년 성관계 문제에 대해 언급하고 나선 건 청소년 출산과 에이즈 확산이 심각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브라질의 청소년 출산율은 1000명당 62명으로 세계 평균 44명을 크게 웃돈다.
미국의 청소년출산율은 18명(2017년 기준)으로 브라질보다 한참 아래다. 에이즈 확산도 경계해야 할 수준이다. 브라질 보건부가 발표한 가장 최근의 공식 보고서에 따르면 브라질에선 2018년에만 에이즈 감염사례 4만3941건이 보고됐다. 이는 2014년과 비교할 때 431% 늘어난 것이다.
현지 언론은 “보건부가 청소년들에게 혼전순결을 강조하고 나선 건 청소년 출산과 에이즈 감염을 줄이기 위한 고육지책”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선 반대론로 만만치 않다. 단순히 성관계를 하지 말라는 식으론 청소년 출산과 에이즈 확산에 절대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것이다.
브라질의 청소년출산문제 전문가 레실레 칸토르는 “혼전순결 강조론은 1980년대 이미 미국에서 시도했지만 효과를 보지 못한 대책”이라며 “적절한 성교육만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보수적 색채가 강한 자이르 보우소나루 정부는 성교육에 관한 한 거꾸로 가고 있다.
브라질 보건부는 지난해 생식건강에 대한 팜플렛을 교육 현장에서 수거하라고 지시했다. 팜플렛을 본 보우소나루 대통령이 “청소년들이 보기엔 부적절하다”며 이런 지시를 내렸다고 한다. 칸토르는 “성교육을 제한하거나 최대한 뒤로 미루는 게 정치적으론 적절할지 모르지만 정작 청소년들에겐 유해한 결정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손영식 해외통신원 voniss@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