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트랜스젠더와 여장남자 살인사건이 가장 많이 발생한 국가는 브라질이었다고 현지 언론이 '브라질 트랜스젠더-여장남성 전국연합(ANTRA)'의 조사 내용을 인용해 최근 보도했다.
ANTRA에 따르면 지난해 브라질에선 트랜스젠더와 여장남성 124명이 피살됐다.
2위 멕시코(65명)를 크게 앞지르면서 브라질은 2년 연속 트랜스젠더-여장남자 살인사건이 가장 많이 발생한 국가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앞서 2018년 브라질에선 트랜스젠더와 여장남성 163명이 피살됐다.
ANTRA의 회장 케일라 심슨은 "2018년에 비하면 사건이 줄긴 했지만 여전히 48시간마다 1명꼴로 트랜스젠더나 여장남성이 살해되고 있다"면서 "성소수자 신변안전을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ANTRA는 2008년부터 해마다 주요 국가의 트랜스젠더와 여장남자 살인사건을 집계, 통계를 내고 있다.
브라질은 2017년 최다 기록인 179건을 찍은 후 사건이 줄고 있지만 주요 국가 랭킹에선 여전히 불명예 1위를 달리고 있다.
브라질은 치안이 불안한 국가지만 성수소자 안전은 특히 취약하다. ANTRA에 따르면 브라질에선 하루 평균 11건꼴로 성소수자에 대한 폭력사건이 벌어지고 있다.
ANTRA가 성소수자의 안전을 수치화, 산출한 국가랭킹에서 브라질은 74개국 중 최하위권인 68위에 랭크됐다. 심슨 회장은 "성소수자의 99%가 불안감을 안고 살고 있다"고 말했다.
지역별로 보면 인구가 많은 곳일수록 성소수자, 특히 트랜스젠더와 여장남자에 대한 편견과 공격이 심한 편이다.
지난해 트랜스젠더와 여장남자 살인사건이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브라질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상파울루주였다. 이어 세아라, 바이아, 페르남부쿠, 리우데자네이루 순이었다.
인종별로는 흑인과 혼혈이 범죄의 집중적인 타깃이 되고 있다. 전체 피해자의 82%가 흑인 또는 혼혈이었다. 피해자 중 절반 이상(59.2%)은 15~29세 청소년-청년층이었다.
ANTRA는 "보수적 성향이 강한 자이르 보우소나루 정권이 등장한 후 성소수자에 대한 공격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자료사진
남미통신원 임석훈 juanlimmx@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