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현지시간) 더런던이코노믹(TLE) 등 현지매체에 따르면, 영국 셰필드대 연구진은 요르단 자타리 난민캠프에서 시리아 난민들과 함께 이런 매트리스 폼으로 식량이 되는 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이런 활동은 ‘사막 텃밭’(Desert Garden)이라는 이름의 수경재배 교육 강좌 프로젝트의 일부분으로, 셰필드대 전문가들이 대다수가 농부였던 이들 난민을 대상으로 척박한 사막 환경에서 각종 농작물을 기르는 방법을 전수해주고 있는 것이다.
사막 텃밭에는 고추와 토마토, 가지 그리고 호박 등 농작물과 민트 등 허브 식물이 적당한 크기로 잘라진 매트리스 폼에서 자란다. 이런 매트리스 폼은 식물이 물과 영양분이 풍부한 배양액이 섞인 용액 속에서 자랄 때 뿌리를 지탱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런 재배 방식은 토양에 바로 심는 것보다 물을 70~80% 덜 쓰고 농약의 필요성마저 없애준다.
사실 이런 수경재배에서 버려진 매트리스 폼을 활용한다는 아이디어는 이들 연구자가 고안한 것이 아니다. 연구진은 원래 토양 역할을 대신할 특수한 폼을 개발했지만, 농사 경험이 풍부한 일부 난민이 부족한 폼을 대신해 버려진 매트리스 폼을 가지고 와서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이 역시 같은 효과가 있음이 확인된 것이다.
게다가 버려진 매트리스 폼은 캠프 주변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다. 왜냐하면 구호단체 자원봉사자들이 사용하고 나두고 간 매트리스 폼이 캠프 주변 폐기물 운반 컨테이너에 상당수 남아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셰필드대 연구진은 이들 난민과 긴밀히 협력해 캠프에 있는 난민들에게 신선한 채소와 허브 그리고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척박한 환경 속에 텃밭을 만들 수 있었다.
지금까지 셰필드대 연구진은 이런 방식으로 난민 약 1000명에게 수경재배 방법을 알려줬다. 하지만 현재 프로젝트 자금이 모두 떨어져 이들 연구자는 자금을 모으기 위해 대중에 호소하고 있다. 이들은 총 25만 파운드(약 3억8000만원)를 모아 시리아 난민 약 3000명에게 사막 환경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을 교육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종자와 영양분이 함유된 배양액 비용도 포함돼 있다.
이에 대해 프로젝트 책임자인 토니 라이언 교수는 “우리가 함께 일했던 난민들은 우리에게 교육을 받았지만 이 프로젝트를 그들만의 것으로 성장시켰고, 우리가 상상도 하지 못한 성과를 냈다”면서 “이 기술은 세계에 자급자족 가능한 텃밭을 만들어 난민 수백만 명이 척박한 환경에서도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돕는 데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셰필드대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