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캘리포니아대학과 호주 퀸즐랜드대학, 영국 콘월대학 등 국제 공동 연구진은 미얀마의 안다만해에서 채취한 굴 샘플을 분석했다. 샘플을 채취한 지역은 미얀마 최남단에 있는 타닌타리 관구로 인구밀집도가 높은 지역으로도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이 지역의 해수 및 굴 샘플을 채취하고, DNA 분석기술 등을 이용해 성분을 분석했다. 그 결과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는 87종의 인간 병원균 5459개와 78종의 미세잔해 1225개가 발견됐다.
미세잔해 안에는 플라스틱을 포함해 석유와 물감 찌꺼기, 탈크 등이 포함돼 있으며, 여기에는 아기용 분유의 찌꺼기 등도 있었다. 이러한 분유 찌꺼기는 인간이 만들어낸 폐기물과 하수가 직접 먹이사슬로 전달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해양생물의 오염이나 질병 전파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연구진은 “각기 다른 세 브랜드의 아기용 분유 미세잔해가 남아있다는 사실에 특히 놀랐다. 아기용 분유 찌꺼기는 미세잔해 전체의 약 14% 정도였다”면서 “병원균과 미세잔해 모두 사람이 버린 하수에 만연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전 세계의 연안 해양의 수질 환경이 도시화로 인해 점차 나빠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굴과 같은) 주요 어업 종의 오염을 초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인간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 지역을 포함한 여러 지역에서 생산되는 굴은 대체로 날것 그대로 먹는 것이 일반적”이라면서 “이번 연구는 농업 및 인간의 폐기물 유출로 인해 광범위하고 심각한 오염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해산물 수출의 절반 이상이 개발도상국에서 전 세계로 이뤄지고 있는 만큼, 지역의 식품 안전 및 식품 안보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를 이끈 캘리포니아대학의 레이첼 릿먼 박사는 “해산물 대부분은 오염된 곳에서 채취된 뒤 해외로 수출된다는 사실을 명심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이번 연구는 미얀마에서 전 세계 다른 해산물과 이것으로 만드는 각종 소스로 유해물질이 전이될 수 있다는 강력한 증거”라며 전 세계 해안 수질 개선에 대한 적절한 검사와 개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학술전문 출판사인 엘제비어가 출간하는 종합환경과학회지(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최신호에 실렸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