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부터 본격적인 국산무기 연구개발이 시작되면서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한 우리나라의 방위산업도 올해 50주년을 맞은 시점에, 방산 및 군사 전문지가 500호를 맞이한 것도 매우 의미 있는 발자취라 할 수 있다. 지난 41년 동안 국방과 기술에 게재된 논문만 해도 5,200여 편이 넘는다. 발행부수를 합하면 약 258만부 이상으로 세로로 쌓아본다면 에베레스트산의 약 3배 높이에 달한다.
월간 국방과 기술은 1978년 10월 25일 국방부 장관의 발행 승인을 거쳐 1979년 1월에 창간됐다. 창간 배경은 1976년에 설립된 한국방위산업진흥회가 해외시장과 기술에 대한 정보를 비정기적으로 회원사인 방위산업체들에 전파하던 중 당시 일본의 ‘병기과학’ 지와 같은 국방관련 전문지의 필요성을 언급한 박정희 전대통령의 의지에 따라 만들어지게 되었다.
초창기에는 컴퓨터의 낮은 보급률과 현재와 같은 인터넷 환경이 갖추어지기 훨씬 전이었기 때문에, 국방과학연구소의 도움으로 해외 무기체계 번역본이나 방위산업 행사와 관련된 단신기사 위주로 소개되었다. 당시 워낙 척박한 방위산업 환경에서 유일한 전문 서적이었기 때문에 무기체계에 대한 정보 제공의 역할을 톡톡히 수행했다. 현재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방위산업체 종사자, 연구원, 국방전문기자와 방산 전문가 및 군사마니아들 중 이 잡지를 구독하지 않은 이들이 없을 정도다.
현재는 무기체계 소개, 국방정책, 방산기술, 방산정책 등 외부 기고와 현장 취재 위주의 기사나 화보를 콘텐츠로 제공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과거에 비해 그 볼륨과 내용의 질적인 측면에서 큰 발전을 이뤄냈다는 평가다. ‘국방과 기술’의 다양하고 유익한 정보들은 정부, 군, 방산업체, 연구소, 군사마니아들의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고 정보수집 및 정책 개발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발행인인 최평규 한국방위산업진흥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월간 국방과 기술이 1979년 첫 발간 이후 지금까지 41년을 이어왔다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 큰 업적이다”며 “그 동안 방위산업 기술발전을 위해 묵묵히 땀과 눈물을 흘린 사람들을 대변했던 국방과 기술은 한 권 한 권마다 분명 소중한 가치가 있으며, 본지의 진면목을 이해하고 활용의 기회를 찾는다면 기초 과학기술의 표본이 되고, 후학 양성의 토양이 될 것임을 자부한다.”고 말했다.
또한 최평규 회장은 “그 동안 사랑해 주신 독자 여러분, 전문적이고 흥미로운 글을 제공해 주신 집필진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항상 성원해 주신 국방부, 육·해·공군 관계기관, 방위산업 발전을 위해 매진하고 계신 방산업체 회원사 여러분들의 관심과 사랑, 지원과 도움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김대영 군사평론가 kodefkim@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