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파크 측은 1999년 동물원에서 태어난 최초의 남부흰코뿔소 ‘켄디’가 지난달 25일 새끼를 낳았다고 밝혔다. 어미 코뿔소는 멸종위기종 보존 프로그램 일부분으로 수컷 ‘두건’을 만나 새끼를 얻었다.
동물원 관계자는 “1998년 이후 우리 동물원에서 태어난 11번째 남부흰코뿔소”라고 밝히면서 “사교적인 본래 성격대로 새끼는 큰 문제 없이 어미와 유대감을 형성 중이며 잘 크고 있다”고 전했다. 새끼 이름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흰코뿔소는 코끼리 다음으로 몸집이 큰 육상 포유류다. 서 있을 때 높이가 최대 1.8m에 이른다. 이름에서 유추되는 것과 달리 흰색은 아니다.
흰코뿔소라는 이름은 ‘넓다’는 뜻의 아프리칸스어 ‘weit’(웨이트)에서 유래됐으며, 흰코뿔소의 폭넓은 입을 가리킨다. 아프리칸스어는 네덜란드어에서 파생된 남아프리카공화국(이하 남아공) 공용어다. 백인들이 ‘weit’를 영어 중 발음이 비슷한 ‘white’로 잘못 알아듣는 바람에 ‘white’로 표기한 것이 굳어져 지금까지 ‘white rhino’, 흰코뿔소로 불리게 됐다.
남아공과 나미비아, 짐바브웨, 케냐에 서식하는 흰코뿔소는 조직적 밀렵에 개체 수가 한때 50마리까지 감소했다. 뿔이 항암치료에 좋다는 낭설이 중국과 베트남 등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퍼지면서 대거 희생됐다.
특히 흰코뿔소의 두 아종 중 남부흰코뿔소를 제외한 나머지 하나인 북부흰코뿔소는 지구상에 단 두 마리밖에 남아있지 않다. 마지막 수컷 북부흰코뿔소였던 ‘수단’은 2018년 3월 케냐 보호구역에서 45살로 세상을 떠났고, 남은 두 마리는 모두 암컷이라 사실상 절멸에 이르렀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