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언론에 따르면 15일(현지시간) 베네수엘라의 수도 카라카스의 대표적 부촌인 라스메르세데스에 페라리 공식대리점이 오픈했다.
서비스센터까지 갖추고 있는 대리점에선 페라리의 주요 모델이 판매된다. 판매가격은 모델에 따라 최저 30만 달러, 원화로 약 3억3100만원이다.
슈퍼카 가격으로 유달리 비싸다고 할 수 없지만 베네수엘라 직장인 소득에 견줘보면 이른바 '영끌'로도 장만하기 힘든 꿈같은 가격이다. 지난해 3월부터 환율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한때 2달러 안팎이던 베네수엘라의 최저임금은 1달러 미만으로 떨어졌다.
베네수엘라 직장인이 받는 최저임금은 월 40만 볼리바레스, 1개월 급여를 받아 전액 달러로 환전하면 손에 쥐는 건 달랑 0.92달러뿐이다. 생필품을 사기에도 턱없이 부족하다. 옥수수가루나 쌀 1kg를 사면 지갑은 텅 빈다. 전문직이라고 사정이 크게 나은 것도 아니다. 교사급여는 월 2달러가 채 안 된다.
페라리의 영업을 승인한 니콜라스 마두로 정부에 국민적 비난이 쇄도하는 이유다. 야당 정치인 델사 솔로르사노는 "교사들이 월 2달러를 벌기 위해 급여인상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는데 정부는 페라리 판매를 승인했다"며 "이게 차베스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사회정의"라고 비판했다.
그는 "정부와 연결된 사람들에게만 살 만한 세상이 됐다"며 베네수엘라가 특권층만 사치를 누리는 체제로 전락했다고 지적했다.
베네수엘라 임시정부의 외교보좌관 훌리오 보르헤스는 "2달러를 채 벌지 못하는 직장인이 대다수인 나라, 굶어죽는 사람이 속출하는 나라에서 페라리 판매가 웬말이냐"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보르헤스는 "(마두로 정부가 페라리의 영업을 승인한 건) 독재정권의 윤리적 타락, 공감능력의 결여를 보여줄 뿐"이라며 "부패한 정부가 돈세탁까지 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페라리는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 칠레, 콜롬비아 등엔 공식대리점을 두고 있지만 페루, 우루과이, 볼리비아 등지엔 꾸준한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아직 판매 채널을 개설하지 않고 있다.
손영식 해외통신원 voniss@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