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아론 헌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모로코의 고생대 지층에서 놀랄 만큼 보존 상태가 우수한 원시 불가사리 화석을 발견했다. 이 화석은 4억8000만 년 전 오르도비스기의 것이지만, 불가사리 화석으로는 예외적으로 미세 구조까지 생생하게 보존되어 연구팀을 놀라게 만들었다.
칸타브리기아스터 페조우타엔시스(Cantabrigiaster fezouataensis)로 명명된 이 고대 불가사리는 누가 봐도 불가사리로 분류할 수 있을 만큼 현생 불가사리와 흡사한 외형을 지니고 있으나 사실 불가사리와 바다나리의 특징을 동시에 지닌 원시적인 극피동물이다.
연구팀은 미세 구조까지 잘 보존된 화석 덕분에 칸타브리기아스터가 첫 인상과는 달리 현생 불가사리가 지닌 신체 특징의 60%가 없으며 오히려 바다나리와 닮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런 점을 생각하면 칸타브리기아스터는 불가사리류와 바다나리류의 진화와 분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화석이라고 할 수 있다. 바다나리를 닮은 불가사리의 조상은 이런 과정을 거쳐 별 모양 형태를 지닌 현생 불가사리로 진화했을 것이다. 불가사리는 이름처럼 여러 차례의 대멸종을 거치면서도 죽지 않고 계속해서 번영을 누리고 있으며 심지어 인간에 의해 수많은 동식물이 위기인 현재도 여전히 번성하고 있다.
현생 동물문의 대부분은 고생대의 첫 시기인 캄브리아기(5억4200만~4억 8830만 년 전)에 등장했다. 갑작스럽게 폭발적으로 생물종이 늘어났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이 시기를 캄브리아기 대폭발이라고 부른다. 다음 시기인 오르도비스기(4억8830만~4억4370만 년 전)에는 전 시대에 나타났던 동물문이 다양하게 분화해서 더 복잡한 생태계를 이뤘는데, 이를 오르도비스기 생물 다양화 사건(great Ordovician biodiversification event, GOBE)이라고 부른다.
불가사리류의 조상 역시 이 시기에 등장했을 것으로 여겨졌으나 사실 그 기원이 명확하지 않았다. 이번 발견은 불가사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를 찾았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