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브는 적층 제조 방식을 우주 항공 및 방산 분야에 도입하려는 AMEXI 컨소시엄의 핵심 회사 중 하나로 2018년부터 3D 프린터 출력 부품을 기존에 배치된 그리펜 C/D 전투기에 도입하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그리고 지난달에 처음으로 3D 프린터 출력 수리 부품을 탑재한 그리펜 전투기가 비행에 성공한 것입니다. 참고로 이 부품은 금속이 아닌 PA2200 나일론 소재를 이용해 출력했습니다. (사진에서 흰색으로 보이는 부품. 동체 표면에 있는 정비용 해치)
최신 전투기는 수많은 부품으로 구성된 매우 복잡한 기계입니다. 따라서 모든 부품을 충분히 준비한 상태에서 유지 운용하는 일이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그래도 본래 전투기를 운용한 기지에서는 이 문제가 상대적으로 덜할 수 있습니다. 진짜 문제는 실제 전쟁 상황에서 새로운 임시 기지로 전투기를 전진 배치할 때 생깁니다. 실제 전투 중 전투기가 손상될 가능성은 크지만, 모든 부품을 기지에 충분히 준비해 바로 수리하기는 대단히 어렵습니다.
3D 프린터는 이 문제에 대한 가장 합리적인 해결책입니다. 물론 전자 부품처럼 3D 프린터로 출력하기가 어려운 부품도 있지만, 전투 중 손상될 가능성이 가장 큰 동체에는 3D 프린터로 출력해서 긴급 복구를 할 수 있는 부분들이 많습니다. 3D 프린터로 신속하게 전선에서 부품을 보급한다면 전투기 가동률도 높아지고 보급에 대한 부담도 크게 덜 수 있을 것입니다.
전장에서 3D 프린터로 바로 부품을 출력해 항공기나 다른 무기를 바로 수리하려는 아이디어 자체는 새로운 것은 아닙니다. 항공모함과 상륙함에서 수많은 군용기를 운용하는 미 해군은 함정에서 3D 프린터를 통해 부품을 바로 출력하는 연구를 2016년부터 진행하고 있습니다. 모든 부품을 배나 항공기로 외부에서 공급받거나 항구에서 보급하는 대신 일부라도 자체 생산할 수 있다면 임무 수행 능력을 한 단계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군용기를 포함해 귀중한 장비와 무기에 3D 프린터 부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검증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실전 배치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3D 프린터를 이용한 부품 생산 및 보급은 군 입장에서 매우 매력적인 아이디어이고 3D 프린터 기술도 크게 발전한 만큼 실전 배치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생각됩니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