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이처럼 원전 오염수를 반드시 바다에 버려야 한다면 왜 지역 주민은 항의하고 환경 단체는 비난하며 주변국들은 우려를 표하고 있느냐며 중국 관영매체 CGTN이 19일 의문을 제기했다.
후쿠시마 원전의 소유주인 도쿄전력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해일이 일어나 원전 가동이 중지돼 발생하고 있는 오염수를 처리하기 위해 다핵종 제거설비(ALPS·이하 알프스)를 개발했다. 도쿄전력은 알프스로 오염수 중 방사성핵종의 농도를 검출할 수 없는 수준까지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원전 오염수를 알프스로 처리해 원전 부지 내 저장탱크에 보관 중인 물을 조사한 비정부 환경단체 그린피스의 지난해 보고서에서는 제거할 수 없는 삼중수소 이외의 방사성핵종 62종의 농도가 기준치의 1만9909배에 달하고 처리수 중 72%는 기준치를 초과해 다시 처리해야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도 특히 스트론튬90(Sr-90)이라는 방사성핵종은 체내에 들어가면 뼈와 골수에 축적돼 암 발생 위험을 높여 우려가 큰데 지난달 그린피스가 발표한 최신 보고서에서 아직 소량이긴 하지만 상당량이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도쿄전력은 원전 사고 당시 녹아내린 원자로를 식히기 위해 100만 t이 넘는 물을 사용했다. 이 때문에 올림픽 수영장 500개분을 채울 수 있는 약 130만 t의 오염수가 현재 원전 부지 내 저장탱크에서 보관돼 있다. 게다가 최근 몇년간 빗물이나 지하수가 저장탱크에 유입돼 오염수의 양은 계속해서 증가했다.
일본 정부는 저장탱크로 이용할 원전 내 토지가 내년 여름이면 가득 찰 것이라고 주장하며 자신들의 해양 방출 계획을 옹호한다.
하지만 앞서 일본 경제산업성 산하 알프스 처리수 처리 분과위원회는 보고서를 통해 “저장 공간이 부족하면 후쿠시마 원전의 소유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북쪽 토양을 활용할 수 있다”면서 “시설은 부지에 인접한 임시 저장시설로 옮기면 된다”고 밝힌 바 있다.
실제로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바다에 버리지 않고 육지의 견고한 저장탱크에 보관할 수 있다. 다만 이 방식을 선택하면 거액의 투자금과 정기적인 감시 체계가 필요하다.
이에 대해 원자력 전문가인 그린피스 독일사무소의 숀 버니는 CGTN과의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는 이 같은 선택이 값 비싸 추구하고 싶어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선택은 오염수를 바다에 버리는 것보다 훨씬 덜 위험할 수 있다.
숀 버니는 또 “우리는 특히 오염수 속 방사성 물질이 일본 주변국과 접한 바다로 대규모나 부분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우려한다. 한반도 주변 동해(East Sea)와 동중국해(East China Sea)가 위험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오염수 배출은 한 국가에서 자체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국제적으로 중대한 의미를 갖기에 일본 정부의 입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일본 정부는 주변국과 충분히 협의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