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반자율주행모드로 운행 중이었던 테슬라 차량이 나무와 충돌해 남성 2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테슬라 측과 운전자 측의 각기 다른 주장이 쏟아지고 있다.
현지시간으로 17일 휴스턴 북부에서는 2019년형 테슬라 모델S 차량이 고속주행 중 커브길에서 제어되지 못해 도로를 벗어난 뒤 가로수와 충돌했다. 차량은 충돌 직후 불길에 휩싸였으며, 소방대원이 출동해 4시간여 만에 화재를 진압했지만 탑승자 2명이 모두 사망했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탑승자 2명 중 1명은 뒷좌석에, 또 다른 한 명은 차량 앞 조수석에 탑승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즉 해당 차량의 운전석에는 아무도 앉아있지 않았다는 것. 당국은 이번 사고가 테슬라의 자랑인 반자율주행모드(오토파일럿) 기능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했지만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주장은 달랐다.
머스크는 19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이제까지 복구된 데이터 기록을 보면 (사고 차량의) 오토파일럿 기능은 작동되지 않은 상태였으며 이 차량은 ‘완전자율주행’(FSD)도 구매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테슬라 측은 오토파일럿 장치를 이용하려면 운전자가 항상 핸들을 잡고 있어야 한다고 설명해 왔지만, 테슬라 운전자들이 공개한 일부 동영상은 테슬라 차량이 운전자가 핸들을 잡고 있지 않았다는 것을 인지하고 경고를 보내는 데 수 분이 소요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예컨대 핸들에 무게감이 있는 물병이나 오렌지, 핸들에 손이 감긴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는 타월 등을 감아둘 경우, 차량은 운전자가 핸들을 잡고 있다고 오인할 수 있다는 것.
실제로 현지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2019년 1월 공개된 영상에서는 테슬라 차량 운전석에 아무도 타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경고음을 보내기까지 걸린 시간은 2분이었다. 경고음을 보낸 뒤 완전히 차량이 멈출 때까지는 40초가 더 걸렸다.
이번 사고는 테슬라의 오토파일럿 장치를 ‘속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사실뿐만 아니라, ‘오토파일럿’, ‘자율주행’이라는 용어가 운전자들을 오도할 수 있다는 비판을 다시 한번 되새기게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지난해 독일 뮌헨 법원은 ‘오토파일럿’ 명칭 사용이 허위 광고라는 취지의 판결을 내리기도 했다.
미국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테슬라 측에 공공도로에서 자율주행시스템 설계 및 사용에 대한 더욱 엄격한 안전 사항을 요구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반자율주행 기능을 자율주행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라며 “오토파일럿 기능을 사용할 때에도 반드시 핸들에 손을 얹고 운전에 집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