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카모프사는 동축 회전익 방식의 헬기를 주로 생산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일반적으로 헬기는 단일 회전익 방식을 주로 사용하는데, 양력과 추력을 모두 하나의 메인로터 즉 주 로터에서 얻게 된다. 꼬리에 달린 테일 로터 즉 보조회전익은 주 로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상쇄시키기 위한 토크를 발생시키고 제자리 비행 시 헬기의 방향을 좌우로 바꾸는데 사용된다. 반면 동축 회전익은 로터의 회전 반력을 상쇄시키기 위해 하나의 축에 2개의 로터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게 한다.
양력 및 추력 조절은 두 로터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며 보조회전익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단일 회전익에 비해 추력효율이 좋은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Ka-32는 동축 회전익 방식과 함께 최대 2000마력의 이상의 TV3-117VMA 터보샤프트 엔진 2기를 장착해 힘이 좋으며 측풍에 강한 헬기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혹한의 러시아 기후를 반영해 겨울철 운용에도 전혀 지장이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우리나라는 지난 1990년대 소련에 빌려준 차관금액의 일부를 Ka-32 헬기로 받는다. 이렇게 들여온 Ka-32 헬기는 산림청, 소방, 해양경찰, 공군에서 운용되고 있다.
Ka-32 헬기는 장점도 있지만 단점도 상당하다. 일단 장착된 엔진의 출력자체가 높기 때문에 연비가 나쁘며 내부공간도 다른 헬기들에 좁고 길어 공간 효율성이 떨어진다. 또한 Ka-32 헬기는 과도한 유지비용이 드는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산불진화용 Ka-32 헬기 운영 집행 예산 중 60%이상을 정비비로 쏟아 붓는다. 특히 러시아산 헬기는 미국이나 유럽 헬기들과 달리 각종 부품의 수명이 짧고, 모듈 단위로 교체해야 되기 때문에 비용도 많이 들어간다.
또한 제작사의 후속지원도 미국이나 유럽회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전해진다. 여기에 더해 지난 2015년에는 해양경찰이 운용중인 Ka-32 헬기에서 엔진결함이 발견되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추락사고도 이어졌다. 지난 2009년 전남 영암에서 당시 산림항공본부 소속 Ka-32 헬기가 담수 작업 훈련 중 추락해 3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고 2017년에는 강원 삼척에 비상착륙하며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다음해인 2018년에는 산불 진화를 위해 담수 중 한강에 추락하기도 했다.
김대영 군사평론가 kodefkim@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