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400년 전인 1610년, 갈릴레오가 자작 망원경으로 발견한 목성의 4대 위성, 이른바 갈릴레오 4대위성 중 하나인 가니메데는 나머지 세 위성인 이오, 유로파, 칼리스토와 함께 갈릴레오의 작은 망원경에는 하나의 조그만 빛점으로 보였지만, 지난 8일 새벽 1038㎞까지 접근한 NASA의 목성탐사선 주노의 카메라에 잡힌 모습은 태양계 최대 위성의 위엄을 보여주는 놀라운 이미지였다.
홈이 파인 지형은 빙판 이동에 따른 것이라는 가설이 현재 힘을 얻고 있지만,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그 생성 원인은 여전히 중요한 연구 주제로 남아 있다. 주노 프로젝트 책임연구원인 사우스웨스트연구소(SwRI)의 스콧 볼턴은 “가니메데에 대해 과학적 결론을 얻기까지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어쨌든 태양계에서 수성보다 큰 유일한 위성인 가니메데의 신비는 경탄스러울 뿐”이라고 밝혔다.
가니메데는 지구보다 더 많은 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생명체가 서식할 수 있는 지하 바다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과학자들은 생각하고 있다. 또한 가니메데는 지구의 달과 마찬가지로 모행성인 목성과 중력으로 잠겨 있어 자신의 한쪽 면만 목성을 향한 채 1회 공전에 1회 자전하는 동주기 자전을 하고 있다.
위의 사진은 지난주 NASA의 목성탐사선 주노가 가니메데의 1038km 상공을 통과하면서 촬영한 것이다. 이 근접 통과로 인해 주노의 목성 궤도 주기는 53일에서 43일로 단축되었다. 앞으로도 주노는 목성 궤도를 돌면서 이 거대한 행성의 높은 중력과 비정상적인 자기장 그리고 복잡한 구름 구조를 계속 연구할 예정이다. 과연 가니메데의 지하 바다에는 생명체가 서식하고 있을까? 그 답을 알고 있는 사람은 아직은 없지만, 인류는 언젠가는 그 답을 알아내고 말 것이다.
이광식 칼럼니스트 joand999@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