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사스 출신 마리아(30)는 지난 5월 4일 남편 제이슨(36)을 먼저 떠나보냈다. 코로나19로 중환자실에서 사경을 헤매던 남편은 투병 3개월 만에 숨을 거뒀다. 그때 마리아 배 속에는 둘째아들이 들어 있었다.
마리아는 “남편이 2월에 양성 판정을 받았다. 갑작스럽게 나타난 코로나 증상이 걷잡을 수 없이 악화했다”고 밝혔다. 그녀는 “기저질환 없이 건강했던 남편이 양성 판정 일주일 만에 혼자서는 숨을 쉴 수 없을 정도로 상태가 악화됐다. 제대로 걷지도 못했다. 증상이 얼마나 빨리 악화했는지 믿을 수 없을 정도”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지난달 19일, 마리아는 남편을 떠나보낸 병원에서 둘째아들을 출산했다. 아버지가 죽은 병원에서 태어난 아들이라니 기막힌 운명이었다.
마리아는 “익숙한 병원 가운을 입은 의료진, 의료기기를 보며 남편의 마지막 순간이 생각났다. 복잡한 심경이었다. 아들을 맞이할 시간이라고, 출산을 위해 병원에 온 거라고 집중하려 애썼지만 남편이 계속 떠올라 가슴이 아팠다”고 말했다. 둘째아들을 보지도 못한 채 세상을 떠난 남편과 아버지 얼굴도 모르는 아들 얼굴이 겹쳐 가슴이 미어졌다고 설명했다.
다행히 태어난 아기는 건강했다. 마리아는 죽은 남편의 이름을 따 아들에게 제이슨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그녀는 무사히 아들을 낳을 수 있었던 데에 백신의 힘이 컸다고 믿는다. 마리아는 남편이 중환자실에 있을 때 백신을 접종했다. 그녀의 산부인과 주치의는 “임산부가 코로나19에 감염되면 합병증 위험이 높다. 백신 접종이 임신 유지와 출산에 오히려 유리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임산부 백신 접종과 관련해서는 아직 의견이 분분하지만 세계보건기구(WHO)는 기저질환이 있는 산모에게 백신 접종을 권하고 있다. WHO는 지난달 ‘임산부 예방접종 권고안’을 통해 “기저질환(고혈압, 당뇨병)이 있는 임산부는 의료진과 상의 후 백신을 접종받는 것이 좋다”고 권고했다.
임산부는 다른 사람에 비해 코로나19에 감염됐을 때 중증 질환을 앓을 확률이 더 높으며, 특히 코로나19에 걸린 임산부는 37주 이전에 출산(조산)할 위험이 크다는 설명이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도 “임산부와 모유수유 여성도 코로나19 백신을 맞을 수 있다”며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어도 모유수유를 통해 아기에게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사례는 없었다”고 밝히고 있다. 다만 현재 임산부는 코로나19 임상 2상, 3상 시험에 포함되지 않아 데이터는 부족한 상황이다.
마리아는 “어떤 임산부든 엄마로서 가장 원하는 게 자녀 보호다. 그리고 백신은 그 일을 가능케 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남편이 백신을 맞았더라면 내 아이들은 아버지를 잃지 않아도 됐을 것이고, 나 역시 쓸쓸히 혼자 아이를 낳지 않아도 됐을 것”이라고 백신 접종을 권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