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전명은 지상으로 '구오르' 내리기. 구오르는 사람이 아니라 꼬마빌딩 안에 있는 비행기였다. 중장비가 동원된 작전 끝에 빌딩 안에 갇혀 있던 비행기는 사고 없이 지상으로 내려와 인근 비행장으로 옮겨졌다. 빌딩의 유리창을 뜯어냈지만 워낙 덩치가 큰 녀석이라 비행기는 날개를 분리해야 했다.
비행기를 만든 청년 페르난도 페르사는 "크기를 정확하게 재고 치밀하게 준비를 했지만 혹시라도 사고가 날까 긴장하지 않을 수 없었다"면서 "다행히 비행기를 무사하게 내릴 수 있었다"고 가슴을 쓸어내렸다.
비행기는 어떻게 빌딩 안으로 들어갈 수 있었을까? 보는 사람마다 이런 의문이 들었겠지만 비행기는 완성체로 빌딩에 들어간 게 아니라 이 빌딩에서 만들어진 것이었다. 페르사는 친구 하비에르 다르나이와 함께 비행기 제작에 흠뻑 빠져 있는 21세기판 '라이트형제'다.
이미 경비행기 2대를 만든 바 있는 두 사람은 코로나19로 외출과 활동이 제한되자 빌딩 안에서 비행기를 만들었다. 페르사는 "작업실로 사용할 수 있는 마땅한 곳이 없었다"면서 "마침 꼬마빌딩 2층이 저렴하게 임대물로 나온 게 있어 여길 빌려 비행기를 제작했다"고 말했다.
4인승인 이번 3호 작품을 만드는 데는 3000시간 작업이 필요했다. 날로 계산하면 꼬박 125일이 걸린 셈이다. 4인승은 처음, 빌딩에서 비행기를 만든 것도 처음이다.
제작비는 공개되지 않았다. 페르사는 "워낙 돈이 많이 드는 일이라 비행기를 판매해야 한다"면서 "제작비를 공개하긴 약간 곤란하다"고 했다.
답답한 빌딩 안에 갇혀 있던 비행기는 땅으로 내려온 뒤 곧바로 산루이스 비행기클럽으로 옮겨졌다. 비행기는 여기에서 다시 날개를 달고 시험비행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미 1호기와 2호기를 성공적으로 띄운 바 있는 페르사는 "4인승은 처음이지만 아무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비행기는 곧 팔릴 전망이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페르사에겐 이미 비행기를 구매하고 싶다는 사람들의 예약문의가 가고 있다.
페르사는 "워낙 돈이 많이 드는 일이라 비행기를 팔지 않으면 다음 프로젝트가 어렵다"면서 "비행기를 파는 대로 곧 다음 프로젝트에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계속 비행기를 만들면서 제대로 된 회사를 만드는 게 꿈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남미통신원 임석훈 juanlimmx@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