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격자들은 로켓포가 카불국제공항 인근 살림 카르완 지역에서 폭발했으며, 폭발음은 세 차례 이어졌다고 전했다.
카불국제공항을 겨냥한 로켓포 5발을 막아낸 미군 방어시스템은 시램(C-RAM)이다. 시램은 ‘Counter Rocket, Artillery, and Mortar’의 약자로, 로켓과 곡사포, 박격포 등을 요격하는 장비다.
센츄리언(Centurion)으로도 불리는 이 시스템은 미해군 함정의 근접방공무기 팰렁스(CIWS)의 육상형으로, 이라크나 아프간 주둔 병영에서 주로 활용돼왔다. 2005년부터 운용되기 시작한 시램은 팰렁스처럼 요격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포탄과 미사일을 감지해 주변 병사들에게 대피 신호를 보내는 기능도 있다.
일반적으로 시램은 대공포형과 미사일형, 레이저형으로 구분되는데, 미군이 이번에 사용한 시램은 대공포형으로 보인다.
고폭 20㎜탄을 사용해 표적 근처에서 파편을 살포해 파괴하는 시스템이다. 지상으로 낙하해 작전을 수행하는 인원이나 민간인에게 피해를 덜 줄 수 있으며, 초당 75발, 분당 4000~5000발을 사격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이스라엘이 보유한 시램인 아이언돔은 미사일형으로, 타미르 요격 미사일을 쓴다. 미사일형은 대공포형에 비해 요격 성공률이 높지만 비용도 높은 편이다. 이에 이번에 미군이 사용한 대공포형 시램은 비용이 아이언돔보다 낮게 든다.
C-RAM으로 로켓포 격추했지만 공격 배후는 아직
C-RAM으로 로켓포를 격추하면서 큰 피해를 막았지만 정확한 피해 규모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미군 측 사상자는 아직 없다는 초기 보고서만 나온 상황이다.
한편 미군은 전날 카불에서 추가 자폭테러 위험이 있는 차량을 공습하기도 했다. CNN은 공습 과정에서 어린이 6명이 포함된 일가족 9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보도했다.
지난 26일 IS-호라산의 카불 공항 자살폭탄 테러로 숨진 미군은 13명, 아프간 주민 사망자는 170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