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일반

화산 폭발 섬에서 홀로 버틴 ‘기적의 집’ 결국 용암에 삼켜졌다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라팔마섬 화산 폭발 과정에서 살아남은 집(사진 왼쪽)과 현재 모습
50년 만의 화산 폭발에서도 온전히 상태를 보전한 집 한 채가 결국 잿더미가 됐다. 지난 30일(이하 현지시간) 영국 인디펜던트 등 외신은 카나리아 제도 라팔마섬의 쿰브레 비에하 화산 폭발 과정에서 홀로 버틴 ‘기적의 집’이 결국 용암에 삼켜졌다고 보도했다.

쿰브레 비에하 화산은 지난 19일 오후 3시15분 경 폭발했다. 화산 폭발의 여파로 불기둥이 300m 이상, 연기는 6000m 이상이나 치솟아 올랐다. 특히 화산에서 흘러나오는 용암은 사방으로 뻗쳐 흐르면서 주택 600여 채와 농경지 260헥타르를 불태웠다. 다행히 6000여명의 주민들은 모두 대피해 인명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으나 가옥 수백 채가 용암에 삼켜졌으며 섬의 주요 작물인 바나나 농장은 엄청난 피해를 입어 수천 명의 실업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확대보기
▲ 화산 폭발 과정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았던 덴마크 인 부부의 별장 모습. 사진=AP 연합뉴스
이처럼 섬이 불지옥이 된 상황에서도 놀랍게도 한 집만 유일하게 용암이 빗겨갔으며 이는 항공 사진으로 공개돼 큰 화제를 모았다. 까만 잿더미 속에서 홀로 살아남은 이 집은 은퇴한 덴마크 사업가 라이너 코크 부부의 별장으로 언론들은 이에 '기적의 집'으로 불렀다. 집 주인은 "1년에 몇 차례 섬을 찾아 지냈는데 코로나 팬데믹 이후로는 가지 않았다"면서 "집이 화산 폭발 속에서도 온전히 버텨줘 너무나 기쁘다"고 밝힌 바 있다.

확대보기
▲ 뜨거운 용암이 바닷물과 만나면서 해안에는 수증기로 인한 거대 구름이 형성됐다. 사진=AP연합뉴스
그러나 화산 폭발과 용암이 흐르는 과정에서도 아슬아슬하게 살아남았던 이 집도 결국 희생이 되고 말았다. 첫 폭발 후 10일 가까이 마치 요새처럼 버티던 별장은 용암이 기존 경로를 바꿔 사방으로 퍼지면서 결국 흔적만 남기고 사라졌다. 집 주인은 "모든 것이 파괴됐다. 우리가 사랑하던 섬의 모든 것을 잃었다"며 슬퍼했다.


한편 섬을 삼키며 서서히 흐르던 용암은 결국 땅을 벗어나 대서양에 가 닿았다. 뜨거운 용암이 바닷물과 만나면서 해안에는 수증기로 인한 거대 구름이 형성됐으며 현지 당국은 용암과 바닷물 접촉으로 폭발과 유독가스 배출이 발생할 수 있다며 대피를 당부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추천! 인기기사
  • ‘친할아버지, 친부, 친삼촌’이 14세 소녀 강간, 임신 2
  • ‘천한 계급’ 10대 소녀, 64명에게 강간당해…“영상·사진
  • “성형수술 하느라 자리 비운 대통령, 탄핵해야”…검찰 조사
  • 월척인줄…필리핀 어부, 해상서 중국 것 추정 ‘수중 드론’
  • 가슴 크기 4배로 커진 여성, 원인은 코로나 백신?…“세계
  • ‘어머니·여동생 4명’ 총 5명 잔혹하게 살해한 男, 아버지
  • 잠옷 차림으로 체포된 대통령 누구?…‘현직 대통령 체포’ 사
  • 양심도 타버렸나…‘지옥 산불’ 찍으려 날린 드론, 소방 항공
  • 또 죽은 새끼 머리에 이고…죽은 자식 안고 1600㎞ 이동한
  • ‘미성년자 강제 성관계·임신’ 前 대통령, 재집권 가능?…“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