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어도 5억 년 이상 지구상에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곰벌레는 ‘물곰’(Water Bear)으로도 불리며 행동이 굼뜨고 느릿한 완보(緩步)동물이다. 몸크기는 50㎛(1㎛는 1m의 100만분의 1)~1.7㎜ 정도로 놀라운 것은 영하 273도, 영상 151도, 치명적인 농도의 방사성 물질에 노출돼도 죽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심지어 곰벌레는 음식과 물 없이도 30년을 살 수 있는 사실상 불사에 가까운 존재다.
곰벌레는 이렇게 인류보다 오랜 시간 지구상에 존재해왔지만, 그 화석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3번째일 정도로 '귀하신 몸'이다. 마치 타임머신처럼 곰벌레를 가둔 호박(琥珀)은 나무의 송진 등이 땅 속에 파묻혀서 수소, 탄소 등과 결합해 만들어진 광물을 말한다. 호박이 일반인에게 알려진 것은 영화 ‘쥬라기 공원’ 덕으로 오래 전 멸종한 고대 동물의 모습을 생생히 볼 수 있다.
이번에 호박 속에 갇혀 발견된 곰벌레 화석은 0.5㎜의 크기로 현재는 존재하지 않아 자신 만의 새로운 속(屬)과 학명(Paradoryphoribius chronocaribbeus)을 얻었다. 연구를 이끈 미국 하버드 대학 박사후보생 마크 마팔로는 "곰벌레 화석을 발견하는 것은 정말 한세대에 한번 있을까 말까한 사건"이라면서 "고대 호박에서 눈에도 보이지 않는 작은 곰벌레를 발견하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이번 화석은 내장도 조사할 수 있는 수준"이라면서 "공식적으로 확인된 곰벌레 화석 중에서 내부 구조를 시각화 할 수 있는 첫번째 화석"이라고 평가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