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더타임스 등 외신의 18일 보도에 따르면 중국 인력자원사회보장부와 국가신문출판서가 최근 발표한 언론 방침에서 “(언론인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으로 기자들의 정치적 능력을 기르고, 올바른 정치적 방향과 가치 지향성을 갖도록 지도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중국 정부는 이 같은 방침을 통해 20만여 명에 달하는 자국의 언론인에게 사상교육을 포함한 당 차원의 교육을 받게 할 것이며, 이는 내년 초 시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번 조치는 언론사 간부뿐만 아니라 기자증을 소지한 취재기자와 촬영 담당자, 편집기자 등 모든 언론인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더욱 눈길을 끌고 있다. 사상 교육을 포함한 당 주관의 90시간 교육은 언론사 소속 기자뿐만 아니라 공무원과 민간 영역의 기관 및 단체 간부들도 반드시 받아야 한다.
더타임스는 “(중국의 이 같은 교육 방침은) 언론 통제를 강화하기 위한 가장 최근의 시도”라면서 “더욱 엄격한 통제는 일당 독재에 대한 도전으로 간주되는 어떠한 기사도 보도되지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민간자본의 언론사 개입 통제…인터넷 여론 통제하는 전국적 시스템 도입"중국의 언론 통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이달 초 중국은 공유자본에 한정해 신문방송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언론통제책을 내놓았다. 공유자본은 사유 자본 등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해외 자본을 비롯한 비판 세력이 미디어 분야에 진출해 중국 여론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 자체를 원천 차단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2018년에는 인터넷정보판공실을 당 중앙위 직속기구로 명시한 뒤 지방 각급 당위원회 산하에도 담당기관을 설치했다. 인터넷 여론을 감시하고 더 나아가 통제하는 전국적인 시스템이 완성된 것.
이후 인터넷평론공작국, 사이버안전심사판공실, 위법·불량정보신고센터, 인터넷여론센터 등 직속부서가 줄줄이 문을 열었고, 신장 독립, 코로나19 팬데믹의 조짐을 최초로 확인한 의사 리원량 등 체제에 반하는 콘텐츠나 검색어 등을 심사하고 차단하는 업무에는 중국 공산당뿐만 아니라 수많은 대학생까지 동원됐다.
2019년 10월부터는 현지 기자들에게 5년에 한 번씩 기자증을 갱신할 때마다 사상 검증을 목표로 하는 시험을 의무적으로 치르도록 했다. 이번 조치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언론과 기자에 대한 강력한 통제를 예고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중국은 올해 4월 국경없는기자회(RSF)가 발표한 ‘세계 언론 자유 순위’에서 전 세계 180국 중 177위로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