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는 대영박물관 큐레이터를 지낸 영국 도자사학자 레지나 크랄의 예리한 눈에 띄어 황실 도자기임을 인정받았다. 대영박물관 중국 도자기 큐레이터 제키사 해리슨홀은 “크랄 박사 제안으로 도자기를 다시 들여다본 결과, 1086년~1125년 중국 송나라 때 유명 가마 ‘여요’에서 만들어진 희귀 청자로 판명났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크랜필드대학교 법의학연구소장 앤드류 쇼트랜드는 “비파괴 X-선 형광분석법으로 여요 청자와 모조품을 각각 비교 분석한 결과, 도자기에서 여요 청자의 특성이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여요는 송나라 때 5대 명요(名窯, 유명 가마) 여요·관요·가요·균요·정요 중 으뜸으로 꼽힌다. 궁중에서 사용하는 기물을 만드는 관요(管窯)였기에, 여요에서 만들어진 황실용 청자는 구경조차 어렵다. 더욱이 여요가 관요로 기능한 게 2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아 여요 청자는 극도로 희귀하다.
여요 청자는 마노(석영질의 보석)를 갈아넣은 유약을 발라 윤이 나고 겉면이 부드러운 게 특징이다. 가끔 질이 떨어지는 자기만이 밖으로 돌았을 뿐이라, 오늘날까지 온전하게 남아 진귀한 예술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100점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전 세계 청자 가운데 가장 희귀하고 아름다운 것으로 평가받는 여요 자기는 희소성만큼 그 가치도 매우 높다. 2017년 홍콩 소더비 경매에 나온 붓 씻는 용도의 손바닥만 한 여요 접시 1점은 431억 원에 낙찰, 도자기 경매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역시 붓 씻는 용도의 접시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청자는 세계적인 중국 도자기 수집가 퍼시벌 데이비드 컬렉션 일부다. 영국령 인도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데이비드는1923년 중국 방문 후 도자기에 매료돼 평생 연구와 수집에 매달렸다. 그의 컬렉션은 10~18세기 송, 원, 명, 청나라 도자 약 1700점이며 대영박물관이 그 일부를 임대 형식으로 보관 및 전시 중이다.
청자의 가치는 1970년대 들어 하향 평준화됐다. 1920년대까지만 해도 여요 청자로 추정됐으나, 다른 여요 청자와 다른 유약의 회색빛과 가마의 지지대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을 정도로 거칠게 다듬어진 밑면 때문에 모조품 취급을 받았다. 그 후로 오랜 시간 묻혀 있던 청자는 최신 법의학 기술로 그 진가가 드러났으며, 경제적 가치 역시 1500파운드(약 24만 원)에서 1500만 파운드(약 24억 원)로 1000배 높아졌다.
수십 년 만에 여요 청자로서의 진가가 확인되자 퍼시벌 데이비드 재단 이사장 콜린 시프는 “중국 도자기 전문가들과 법의학 분석가의 협업이 이뤄낸 성과”라면서 “개인 소장품 가운데 가장 위대한 보물을 찾았다”고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