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일반

[핵잼 사이언스] 땅에 살던 매머드가 바닷속에?…3000m 심해서 발견된 상아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수심 3000m 바다에서 발견된 매머드 상아의 모습. 사진=2021 MBARI
한때는 아메리카 대륙과 유럽, 아시아 등 대륙을 누볐던 매머드의 상아가 수심 3000m 아래 깊은 바닷속에서 발견됐다. 최근 미국 몬테레이만 아쿠아리룸 연구소(MBARI) 측은 지난 2019년 캘리포니아 해상에서 약 300㎞ 떨어진 심해를 탐사하던 도중 매머드의 상아 화석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MBARI이 운영하는 무인심해잠수정(ROV)이 수심 3000m 아래 바다에서 발견한 이 상아는 약 1m 정도 길이로 언뜻보면 통나무처럼 보인다. 30년 이상 심해를 탐사해 온 연구팀도 처음에는 매머드의 상아라는 사실을 눈치채기 힘들 정도. 이 물체는 회수하는 과정에서 일부가 부러졌으며 이후 상아라는 사실을 확인한 연구팀은 지난 7월 다시 같은 곳으로 돌아가 나머지도 건져올렸다.

MBARI 수석연구원 스티븐 해덕은 "심해를 탐험할 때 예상치 못한 것을 발견할 수 있다고 기대하지만 고대 매머드의 상아를 찾을 것이라고는 상상도 못했다"면서 "심해에 숨겨진 다른 고대 동물 화석도 발견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한다"고 밝혔다.

확대보기
미시간 대학 고생물학자인 다이엘 피셔 박사도 "과거 다른 매머드 화석을 바다에서 발견한 적이 있지만 심해 깊은 곳에서 발견한 사례는 드물다"고 설명했다. 

최근 연구팀이 다시 나머지 상아까지 가져온 이유는 완전한 상아 화석이 과학자들에게 훨씬 더 많은 매머드의 DNA 샘플을 제공해 정확한 연대 측정 등 다양한 정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이 상아 분석을 통해 얻어진 정보는 해당 매머드가 최소 10만 년 전 지금의 콜롬비아에 살았던 젊은 암컷이라는 것 등이다.

확대보기
그렇다면 이 매머드는 어떻게 육지가 아닌 바다 깊은 곳에 화석을 남겼을까? 여기서부터는 사실 이론적인 추측으로 연구팀은 해안가 인근에서 죽은 매머드가 바닷물에 쓸려 심해 깊은 곳에 잠든 것으로 보고있다. 특히 연구팀은 심해가 화석을 온전하게 유지하는데 더 유리한 조건이라고 입을 모았다.

확대보기
캘리포니아 대학 산타크루즈 캠퍼스 테렌스 블랙번 교수는 "심해의 온도는 평균적으로 섭씨 4도 정도"라면서 "음식을 냉장고에 넣으면 빨리 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처럼 화석의 부패 속도도 늦춘다"고 설명했다. 이어 "화석은 특히 심해의 고압 환경에서 잘 보존될 가능성이 더 높다"면서 "만약 상아가 육지에서 발견됐다면 그 '역사'를 해독하는 것이 쉽지 않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매머드는 약 480만년 전부터 약 3700년 전까지 유럽에서 아시아, 아메리카 대륙에 이르기까지 광대한 지역에 살았으나 어느순간 지구상에서 완전히 사라져 멸종동물에 이름을 올렸다. 학계에서는 매머드 멸종의 이유를 기후변화와 인간의 사냥으로 보고 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TWIG 연예/이슈/라이프

추천! 인기기사
  • 지옥 그 자체…여성 약 200명 강간당한 뒤 산 채로 불태워
  • 250㎏ 폭탄싣고 2000㎞ 비행…우크라, 러 타격하는 신형
  • (속보) 취임 16일 만에 ‘탄핵’ 맞은 트럼프…가결·인용
  • 알몸으로 도로 뛰어든 여성, 경찰도 혼비백산…난동부린 사연은
  • ‘옷 다 벗고 춤추는’ 교통장관 영상 충격…‘엄청난 과거’
  • “푸틴이 보낸 암살단, 코앞에서 간신히 피해”…젤렌스키 폭로
  • ‘2032년 소행성 추락’ 예상 지역 리스트 공개…한국 포함
  • 빛의 속도로 날아가 드론 ‘쾅’…美 해군 함선서 ‘레이저 무
  • “폭탄으로 국회의원 15명 죽이자”…막말 내뱉은 전 대통령,
  • “최대 22만 명 사망…30년 내 일본 대지진 가능성 80%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