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든 정의 TECH+

[고든 정의 TECH+] 주둥이가 긴 악어도 비염에 시달린다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우리 코에는 콧구멍을 나누는 벽인 비중격 (nasal septum)이 있다. 대부분 비중격은 수직으로 양쪽을 거의 비슷하게 나누지만, 불행히 그렇지 않은 경우도 존재한다. 비중격이 크게 휘어진 비중격 만곡증은 매우 흔한 코 질환 중 하나로 작은 코막힘을 유발하고 심한 경우 만성 부비동염 같은 염증을 일으킨다. 증상이 없고 가벼운 비중격 만곡증은 치료할 필요가 없지만, 증상이 심하거나 염증을 유발한 경우에는 수술의 적응증이 될 수 있다. 그런데 비중격 만곡증으로 고통받는 건 사람만의 일이 아니다.

아칸소 주립 대학의 제이슨 버크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주둥이가 매우 긴 인도 가비알의 표본을 구해 이들이 인간보다 더 심한 비중격 만곡증에 시달린다는 것을 확인했다. 가바일은 주로 물고기를 잡아먹는 악어류로 물속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물고기를 사냥하기 위해 마치 핀셋 같은 길고 뾰족한 주둥이를 지니고 있다. 문제는 콧구멍이 이 긴 주둥이 끝에 있어 비강이 매우 길게 늘어난다는 점이다.

확대보기
물론 코가 길게 늘어났다고 해서 반드시 공기가 잘 통하지 않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연구팀은 고해상도 CT 스캔을 통해 살아있는 대형 가비알 코의 3차원 이미지를 얻은 후 공기 흐름을 시뮬레이션했다. (사진 참조)

연구팀에 큰 도움을 준 것은 포트 워스 동물원 (Fort Worth Zoo)에 있는 루이즈 (Louise)라는 대형 가비알이다. 연구 결과 가비알의 콧구멍은 길기만 한 것이 아니라 비중격의 휘어짐도 심해 코막힘이 자주 발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비알이 콧구멍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진화하지 않은 것은 먹이의 냄새를 맡는 데 그 위치가 유리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연구팀에 따르면 가비알처럼 극단적으로 긴 주둥이를 지니지 않은 다른 악어류는 비중격 만곡증이 그렇게 심하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멸종 동물의 화석을 분석해 보면 의외로 비중격 만곡증이 심한 경우들이 발견된다. 독특한 코를 지닌 공룡인 파라사우롤로푸스 (Parasaurolophus)나 악어는 아니지만 가비알처럼 긴 주둥이를 지닌 백악기 파충류인 참프소사우루스 (Champsosaurus) 역시 비중격 만곡증으로 고통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비중격 만곡증이 심한 동물 가운데 수술적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건 인간이 유일하다. 나머지 동물들은 그런 문제가 있더라도 생존이나 번식 때문에 이를 감수하고 긴 콧구멍을 선택했다. 하나를 얻기 위해 다른 하나를 포기해야 하는 것은 인간 세상뿐 아니라 자연의 이치인 셈이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마치 최근 침몰한 듯…100년 전 수심 400m에 수장된 美
  • 시신이 눈을 ‘번쩍’…관에서 ‘되살아난’ 여성, 아수라장 된
  • (영상) 죽은 ‘백두산 호랑이’가 바다에 둥둥…어부들이 사체
  • 푸틴의 ‘쇼’에 전 세계가 속았다…“대규모 공세 준비 정황
  • “어른들이 미안해”…10살 성폭행 피해 소녀, 4시간 병원
  • “7월, 일본에 대재앙 온다” 예언에 여행 취소 줄줄…코로나
  • 미성년자 강간범 석방한 법원, 황당 이유…“피해자와 결혼 약
  • 러시아군의 잔혹함 어디까지…포로 몸에 새겨진 충격적 문구 내
  • (영상) 푸틴, 피눈물 흘릴 듯…‘2700억짜리’ 러軍의 가
  • “중국이 고구려 지배, 결정적 증거 찾았다” 주장…우리 정부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