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일반

‘여성할례’ 받다 사망한 아프리카 21세…女 90%가 희생되는 ‘악습’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123rf.com 자료사진
시에라리온의 21세 여성이 할례를 받은 직후 사망한 가운데, 할례를 중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여성 성기 절제(Female Genital mutilation, FGM)로 불리는 여성 할례는 아프리카 등 일부 국가에 남아있는 성년의식 중 하나다. 오로지 종교 또는 문화적 관습 때문에 여성의 생식기 일부를 절제해 손상을 입히는 행위다.

영국 가디언의 지난달 31일 보도에 따르면 시에라리온의 한 시골에 사는 21세 여성 마세라이는 지난달 19일 할례 의식을 받았다. 할례를 받은 뒤 집에 돌아온 이 여성은 편두통 및 통증을 호소하다가 다음 날인 20일 사망했다.

현지 여성인권 활동가들은 숨진 여성이 할레로 인한 합병증을 앓다 사망했다고 주장하며 유가족에게 부검을 설득하고 있다.

실제로 유가족의 증언에 따르면 숨진 여성은 할례를 받기 전날까지만 해도 매우 건강했다. 마을 인근 숲까지 직접 걸어가 나무와 물을 구해오기도 했다. 하지만 할례를 받은 지 불과 하루 만에 세상을 떠났고, 각각 4세‧생후 6개월 된 자녀들은 엄마를 잃고 말았다.

20대 여성이 할례를 받은 다음 날 사망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현지 경찰은 할례를 강요한 마을의 고위 관계자 등을 체포했다.

여성 인권 활동가인 루지아투 투라이는 가디언과 한 인터뷰에서 “매우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할례로 사망하는 여성의 사례 대부분이 보고되지 않기 때문에, 더 많은 여성들이 마세라이처럼 죽거나 고통을 겪고 있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번에 숨진 여성은 뒤늦게나마 공부를 시작하는 등 더 나은 삶을 위해 애써왔다. 그러나 마을의 위원회는 그녀가 둘째 아이를 출산한 뒤 할례를 받으라고 강요했다”면서 “여성할례를 근절하기 위한 국가적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해 왔지만 소용없었다”고 덧붙였다.

유니세프에 따르면 인구 약 815만 명의 시에라리온에서는 15~49세 여성 10명 중 9명이 할례를 받는다. 시에라리온은 전 세계에서 여성할례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로 꼽힌다.

시에라리온 여성 사이에서 할례 금지의 목소리가 꾸준히 있어 왔지만, 현지 정치인들은 주민들에게 주택 자금을 지원하는 대신 여성할례를 여전히 합법적인 영역으로 남기는 등 할례 문화를 ‘지키기’ 위해 애를 쓰고 있다.


여성할례 전통을 이어가는 아프리카 국가들에서는 할례를 악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여성을 성인으로 만들어주는 매우 중요한 의식으로 여긴다. 그러나 할례의 피해를 입는 수많은 여성은 악으로부터 보호받기는커녕 소중한 생명을 잃기 십상이다.

끔찍한 고통에서 살아남더라도 이후 통증과 출혈 등의 후유증 및 심리적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가야 한다. 전 세계에 여성 중 할례를 당한 것으로 확인된 사람만 2억 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부인 외도 목격한 경찰이 상간남 창밖으로 던져…사적제재 논란
  • 18세 女, 남편 사망 후 산 채로 화장됐다…‘순장’ 강요한
  • 충격적인 ‘아기 공장’ 적발…“20여명 합숙하며 돈 받고 출
  • “‘부부 강간’은 성폭력 아니다”…‘강간 공화국’ 인도 법원
  • 11살 때 ‘성노예’로 IS에 끌려간 소녀, 10년 만에 ‘
  • 男 8명이 남편 앞에서 아내 집단 강간…신혼부부에게 벌어진
  • 이란 대학 캠퍼스서 “속옷 시위” 벌인 여대생 체포
  • 에베레스트서 100년 만에 발견된 산악인 유해…최초 등정 역
  • 이집트 피라미드 꼭대기서 발견된 미스터리 ‘개’…정체 밝혀졌
  • 이번에는 꺼질까?…50년 이상 불타는 ‘지옥의 문’ 과연 닫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