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 연구진은 지난해 아이오와주에서 교통사고로 죽은 사슴 283마리의 사체를 분석한 결과, 이중 94마리로부터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발견했다.
오하이오주립대학 연구진 역시 지난해 1~3월 북동부 국립공원 등지에 서식하는 야생 흰꼬리사슴 360마리를 대상으로 코로나 검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129마리가 코로나19에 감염됐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연구진은 코로나19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보인 사슴들의 정확한 감염 경로는 불분명하지만, 공통적으로 사슴이 오염된 물을 마신 뒤 코로나19에 걸린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다.
두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사람이 쓰고 버리는 폐수나 대변 등 배설물에 남아있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물이 전염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동물이 인간으로부터 코로나19에 전염될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다양한 사례를 통해 확인됐다. 그러나 이는 대체로 동물과 인간이 수시로 밀접하게 접촉하는 동물원이나 농장,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집에서 나온 사례들이었다. 이번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직접 접촉 없이도 인간에게서 동물로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염된 사례는 없었다.
미국 NBC방송은 2일 “두 연구 모두 사람으로부터 사슴에게로 바이러스가 전파됐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미국에서 가장 흔한 대형 포유류인 사슴은 바이러스가 세포에 결합할 수 있는 고위험군으로 분류돼 왔다. 오하이오주립대 연구진은 “사슴은 앞으로 등장할 새로운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를 살펴볼 수 있는, 사람과는 완전히 다른 숙주”라면서 “사슴이 사람에게 코로나를 감염시킨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가능한 일”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러나 사슴을 포함한 동물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인간에게 전파시킨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 동물이 사람에게 코로나19를 퍼뜨릴 위험은 여전히 매우 낮다”고 덧붙였다.
미국 정부는 흰꼬리사슴과 코로나19의 연관성을 밝히는 연구에 600만 달러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비를 받은 공동연구진은 미국 30개 주에서 서식하는 사슴 사이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찾고 있다. 또 코요테나 너구리 등 다른 동물의 혈액 샘플을 채취하고, 이중 코로나 항체를 가진 동물이 있는지 여부도 확인 중이다.
한편, 인간에게 코로나19를 전염시킬지도 모른다는 우려 탓에 대량으로 살처분 된 대표적인 동물은 밍크다. 2020년 5월 당시 모피 생산을 위해 사육되던 밍크에게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발견됐다. 네덜란드 당국은 국내 155개 밍크 농장 중 4개 농장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된 밍크가 발견됐다며 대규모 도태(개체 수 조절 등을 위해 인공적으로 동물을 죽이는 것)를 시작했다.
세계 최대 밍크모피 생산 국가인 덴마크의 상황은 더욱 심각했다. 덴마크 내 밍크 농장에서 변종 코로나19 바이러스 사례가 보고되고 이에 감염된 사람이 12명이나 발생하자 윤리적 논란에도 불구하고 1700만 마리의 대규모 살처분을 강행했다.
당시 전문가들은 농장 내 모든 밍크에 대한 코로나19 바이러스 검사를 시행하기 어렵고, 무증상 감염된 밍크가 있거나, 밍크에게서 사람에게로 감염되는 사례가 또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대규모 살처분 만이 유일한 방법이라고 말하지만, 동물보호단체의 반발이 쏟아져 나왔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