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이츠 빙하는 한반도 전체 면적보다 조금 작은 19만1659㎢ 크기로 현재도 매년 약 500억t의 얼음을 바다로 유입시키며 해수면 상승의 4%를 유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빙하가 붕괴해 완전히 녹으면 해수면을 60㎝가량 끌어올릴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스웨이츠 빙하는 지구에 재앙을 가져올 수 있다는 의미에서 ‘지구 종말의 날 빙하’로 불리기도 한다.
문제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빙하의 녹는 속도가 예상보다 훨씬 빨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스웨이츠 빙하를 추적, 감시하는 단체인 국제스웨이츠빙하협력(ITGC)은 지난달 스웨이츠 빙하의 동쪽 빙붕이 금 간 자동차 앞 유리와 같은 상태로 5년 내 약간의 충격만으로도 산산조각 나면서 붕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ITGC 미국 측 간사인 데드 스캄보스 박사는 "스웨이츠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을 약 60㎝ 이상 끌어올릴 수 있지만 주변 빙하까지 더해지면 그 높이가 3m까지 올라간다"면서 "이 경우 바다와 접한 세계 주요 대도시의 해수면이 상승하는 것은 물론 태평양 중앙에 위치한 섬나라 등 해수면이 낮은 국가들은 나라 전체가 잠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도에 따르면 국제공동연구팀은 미국의 연구선을 타고 6일 현지로 향해 직접 스웨이츠 빙하를 조사할 예정이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