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는 최근 일본 현지 매체 ‘JB Press’가 보도한 ‘중국 청년 10명 중 9명이 대출 등 채무 부담을 안고 산다’는 내용의 기사를 겨냥해 중국은 광활한 땅과 거대한 인구가 함께 사는 국가로 한 편의 기사가 90년대 중국 출생자를 정확하게 묘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정면에서 비판했다.
일본 매체 JB Press가 지난 3일 중국은행산하금융기관의 보고서를 인용해 보도한 ‘중국의 90년대 출생자 1억 7500만 명 중 약 86.6%가 각종 할부금과 채무 연체를 안고 있다’고 보도한 내용을 저격한 것.
중국 관영매체는 당시 기사를 겨냥해 중국은 다른 국가와 비교해 대출 채무 비중이 적은 반면 각 가정의 저축 규모는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한 국가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들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중국 국가통계국이 집계한 ‘중국통계연감2’에서는 중국의 가계 저축액 규모가 100조 위안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20년 12월 기준 가계 저축액 총 규모가 93조 위안에 불과했던 것 대비 단 6개월 만에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인 셈이다.
반면, 외국계 경제전망기관인 ‘CEIC’ 조사에 따르면, 지난 2010년 51%에 달했던 중국인의 월수입 대비 저축 비중은 2020년 45%로 급감했다. 하지만 이 시기 일본인의 평균 월수입 대비 저축액 비중이 단 20~30%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고무적인 수준이라는 것이 중국 언론의 지적이다. 또, 같은 시기 미국인의 평균 저축액은 수입의 약 5%에 그쳤다.
이 같은 조사 결과에 대해 환구시보는 ‘일본과 미국인들의 저축 비중과 비교했을 때 중국인들의 저축에 대한 열의는 매우 높고, 압도적인 수준이라고 해도 무방하다’면서 ‘결국 중국의 젊은 세대들도 저축을 선호하고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고 지적했다.
이 매체는 그 근거로 최근 공개된 ‘2021년 중국양로전망조사보고서’를 지목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35세 이하의 중국인 중 월소득의 약 25%를 저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0년 20% 대비 소폭 상승한 수치이며, 지난 2018년 해당 조사를 시작한 이래 최고치다.
특히 코로나19 사태가 계속되면서 중국 청년들의 약 76%가 비상 시기를 위해 저축액 규모를 늘릴 계획이라고 답변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또, 35세 이하의 중국 청년들은 노년기를 위해 은퇴 전까지 약 155만 위안 상당의 금액을 저축할 것으로 계획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35세 이상의 청년들이 예상한 은퇴 자금 139만 위안보다 더 많은 수치다.
그러면서도 90년대 출생한 소위 ‘지우링허우’(90后)로 불리는 청년들 중 86.6%가 채무를 지고 있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사실을 보도한 것’이라고 인정했다.
실제로 글로벌 리서치 업체 닐슨이 지난 2019년 발표한 ‘중국청년부채상황보고서’에 따르면, 90년대 출생한 청년 중 86.6%가 개인적인 사유로 인한 채무를 안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 중 약 42.1%가 해당 채무에 대해 1개월 내에 변제를 완료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해당 매체는 강조했다.
이에 대해 중국 국영매체는 모바일 결제의 대중화로 인해 상품 구매와 지불 시기가 불일치한 것으로 인해 발생한 조사 결과 착오라고 해석하는 분위기다.
이에 대해 국영언론들은 ‘중국의 젊은 세대들이 모바일 결제 서비스 등 새로운 지불 방식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해외 언론 보도와 달리 사실상 이들은 장기 대출서비스에 대해서는 매우 신중한 태도’라고 거듭 강조했다.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