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바오딩, 위린, 보저우, 쿤밍, 장춘, 주하이 등 7개 도시 정부는 외부 호적의 주택 구입자 중 석박사, 학사 학위 소지자에 대해 최대 600만 위안 상당의 현금 보조 정책을 도입했다.
중국 매일경제신문에 따르면, 올해 들어와 불과 보름 사이에 이 같은 현금 지급 약속을 한 도시의 수는 7곳에 달한다.
특히 주하이 시정부는 최근 일명 ‘주하이 미래과학기술도시건설 및 인재청년친화형 행동계획’을 통해 최대 600만 위안(약 11억 원) 상당의 주택 구매보조금을 지원하고, 80만 위안(약 1억 5000만 원)의 생활보조금, 3만 8천 위안(약 710만 원) 수준의 주택 임대보조금 등을 지급키로 했다.
또, 이 지역 대학 졸업자라면 누구나 시세보다 최대 60% 할인된 임대료의 ‘청년 아파트’에 입주할 자격이 주어진다. 일명 ‘대기 제로’ 정책에 따라 이 지역 소재의 학위를 소지한 20~39세 청년에게 대기 번호 1순위로 해당 아파트 입주를 신청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바오딩시 역시 이 지역 대학 출신 청년 중 박사 학위 소지자에게는 최고 15만 위안, 석사와 학사 학위 소지자에게는 각각 6만, 2만 위안 상당의 주택 구입 보조금을 약속했다. 모든 보조금은 신청 후 심사 단계를 거쳐 승인 후 현금으로 지원된다.
또, 장시성 남부의 간저우 간현에서는 이 지역에 정착할 목적으로 주택을 구입하려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조세 면제, 주택 구매가격 인하, 주택 보조금 현금 지원 등 3가지 방식으로 대대적인 보조를 약속했다. 특히 이 지역의 부동산 구입이 생애 첫 주택 구입인 청년에게는 20~50만 위안의 추가 보조금이 지급될 계획이다.
또, 쿤밍시 정부는 이 지역에서 사회보험금을 납부한 지 2년 이상의 박사 학위 소지자와 석사 학위자 등에 대해 5~8만 위안 수준의 일회성 주택 구입보조금을 지원할 방침이다.
위린시에서는 주택 구매자가 선납부한 취득세 중 50% 수준의 보조금을 제공, ‘선납부 후보조’ 원칙에 따라 현금 지급을 약속했다. 또, 중국 광시좡족 자치구의 구이핑시에서도 이와 동일한 청년의 주택 구매 시 납부한 취득세에 대해 100% 환급하는 지원책을 공개했다.
이번 각 지역에서 잇따라 발표된 주택구매보조금 정책은 대부분 3~4선 규모의 중소 도시를 중심으로 실시됐다.
상하이 이쥐부동산연구원(易居房地产研究院)이 최근 집계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3~4선 도시의 경우 부동산 시장의 탈동조화 압력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이를 해결할 목적으로 외부 청년 인재 유입과 이 지역 청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시 정부가 대규모 자본을 동원했다는 평가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기준 중국 100개 도시 중 1선, 2선, 3~4선 도시의 신축 부동산의 재고 물량은 각각 3052만 가구, 2억 6571만 가구, 2억 2487만 가구 등으로 집계됐다. 이는 각 도시별로 전 분기 대비 무려 3.2%, 1.5%, 2.6% 이상 증가한 수치다.
즉, 신축 상품 주택 공급량이 3~4선 도시를 중심으로 심각한 공급 과잉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 이 같은 현상은 무려 지난 37개월 동안 3~4선 도시를 중심으로 계속되고 있는 상태다.
이에 대해 옌웨진 이쥐부동산연구원 싱크탱크 연구총괄은 “점점 더 많은 도시에서 주택 구매 보조금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는 것은 매우 긍정적인 신호”라면서 “보조금 정책은 각 지역 정부가 적극적으로 해당 지역에 대한 비즈니스 환경을 우호적으로 조성한다는 것과 일맥한다는 의미다. 추가 인구 유입 가속화와 주택 구매 원가를 낮추는 것은 시장 거래를 활성화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