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 하와이대학 연구팀은 1500년 이후 지구는 6차 대멸종을 겪고있는 중이라는 연구결과를 과학저널 ‘바이오로지컬 리뷰’(Biological Reviews) 최신호에 발표했다.
대멸종은 생물종의 다양성이 짧은 시간 동안 광범위한 지역에서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문가들은 지금까지 지구의 역사에서 크게 5번의 대멸종이 있었다고 분류하고 있다. 6600만년 전 소행성 충돌로 공룡 등 당시 생물종 75%가 멸종한 사건을 비롯해 4억5000만년 전 오르도비스기 말 대멸종, 3억6000만년 전 데본기 말 대멸종, 2억5200만년 전 페름기 말 대멸종, 2억100만년 전 트라이아스기 말 대멸종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학계 일각에서는 현재 벌어지고 있는 인간에 의한 생물종의 멸종을 6번째 대멸종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주장을 줄기차게 제기해왔다. 이번 하와이대학 연구팀도 이같은 주장과 궤를 같이한다. 1500년 이후 지구는 200만 종의 지구 생물 중 7.5~13%가 이미 사라져 대멸종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
연구를 이끈 로버트 코위 교수는 "지구상의 많은 동물과 식물 종의 멸종 속도가 급격히 증가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일부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대멸종과 관계없다고 보고있다"면서 "이는 동물 종의 약 95%를 차지하는 무척추동물의 멸종률을 무시하고 포유류와 조류에만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포유류와 조류 중심으로 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목록’에 올라있는 멸종위기종은 약 900종의 불과하다. 그러나 연구팀은 총 200만 종 15만에서 26만 종이 1500년 이후 멸종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코위 교수는 "곤충 종과 같은 무척추 동물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종보다 평가될 가능성이 적다"면서 "따라서 적색목록에서 멸종으로 파악된 숫자는 실제보다 과소평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너무 늦기 전에 가능한 한 많은 종을 수집하고 평가해 문서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과거 5차례의 멸종기는 소행성 충돌이나 지각변동 등 자연적 원인에 의해 발생했다. 그러나 일각에서 주장하는 6번째 멸종은 인간의 생태계 파괴로 인해 생겨난 결과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