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갈색 미친 개미는 상대를 가리지 않고 공격할 뿐 아니라 자주 이동하면서 예측할 수 없는 행동을 보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 매우 포식성이 강한 개미로 갑자기 쳐들어와 온갖 곤충과 절지동물을 사냥하면서 해당 지역의 먹이 사슬을 흔들어 넣고 심지어 사람이 사는 곳까지 침입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살충제나 물리적 제거 외에 마땅한 구제법이 없어 현지에서는 상당히 골치 아픈 존재다.
곤충학자인 에드워드 르브런 (Edward LeBrun)은 이 개미를 8년간 연구하면서 적은 비용으로 황갈색 미친 개미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발견했다. 그는 연구 중 우연히 배가 부풀어 오른 개미를 발견해 그 이유를 조사했다. 원인은 개미에 감염되는 기생성 곰팡이류인 미포자충이(Microsporidia)었다.
외래 침입종의 성공 비결 중 하나는 본래 있던 곳에서 유행하는 질병이 없는 새로운 환경이다. 우연히 질병을 지니지 않은 개체들이 전파된 후 번식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래 그 생물에서만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새로운 미포자충이 황갈색 미친 개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고 텍사스의 한 공원에 감염된 개미를 풀어 놓았다. 그리고 아직 이 질병에 노출된 적이 없는 황갈색 미친 개미가 감염될 수 있도록 핫도그로 유인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해당 지역에서 황갈색 미친 개미의 숫자가 줄어들고 토종 생물이 다시 돌아오는 현상을 확인했다. 물론 이 곰팡이는 절대 숙주인 황갈색 미친 개미를 멸종시키지 않았지만, 개체수가 늘어나면 자연스럽게 유행해 개미의 개체수가 넘쳐나지 않도록 조절했다.
이번 연구는 황갈색 미친 개미 같은 외래 침입종의 생물학적 구제 방법을 제시했을 뿐 아니라 전염병도 생태계에서 나름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보여줬다. 모든 생명체가 서로를 견제하거나 조절하면서 생태계를 꾸려 나가는 것이 자연의 섭리인 만큼 이를 회복하는 것이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