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오전 0시 20분쯤, 우크라이나 남부 미콜라이우에 있는 남우크라이나 원자력발전소 단지에 러시아군 미사일이 떨어졌다. 포격 충격으로 원전 건물 외벽과 창문은 산산이 부서져 나갔다.
에네르고아톰은 “원전 건물이 손상됐다. 100개 넘는 창문이 깨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남우크라이나 원전 단지 일부인 올렉산드리우카 수력발전소 발전 장치가 하나가 가동이 중단됐다. 고압 송전선도 끊겼다”고 전했다. 인명 피해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미사일은 원자로 코앞에 떨어졌다. 에네르고아톰은 “원자로에서 불과 300m 떨어진 곳에서 강력한 폭발이 일었다. 다행히 원자로 3기는 문제없이 가동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러시아군의 핵 테러 행위는 전 세계를 위협한다”고 규탄했다.
남우크라이나 원전은 자포리자 원전에 이어 우크라이나에서 두 번째로 규모가 큰 원전이다. 러시아군은 지난달 20일에도 남우크라이나 원전 인근 주거 지역에 포격을 가한 바 있다. 당시 에네르고아톰은 “남우크라이나 원전을 노린 공격”이라며 “(자포리자 원전에 이어) 러시아가 또 다른 핵시설을 공격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에 앞서 지난 3월에는 러시아군이 유럽 최대 자포리자 원전을 무력으로 장악하면서 핵 재앙 우려가 불거졌다. 러시아군은 지난달 6일과 7일에도 자포리자 원전을 공격, 원전 시설을 파괴했는데 이를 두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의 핵 테러”라며 날을 세웠다.
원전은 원자로와 사용 후 연료를 냉각할 전력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한 전력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으면 원자로 과열로 핵연료봉 다발이 녹는 노심용융(멜트다운)이 발생하고 방사성 물질이 누출되는 중대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현재 자포리자 원전의 6개 원자로는 포격 피해 우려로 가동을 멈춘 상태다. 마지막까지 가동하던 원자로 6호기도 안전을 위해 ‘냉온 정지’ 상태로 전환한 채 운전을 멈췄다. 다만 17일 주 전력선 4개 중 1개가 복구되면서 보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원자로 과열로 방사성 물질이 누출될 우려도 한층 줄어들게 됐다.
원전 주변에서 양국 간 전투가 격화하자 국제 사회는 핵사고로 인한 방사능 유출 위험을 경고하며 중재에 힘쓰고 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이사회는 15일 러시아가 자포리자 원전을 더 이상 점유해선 안 된다고 강하게 압박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날 IAEA 이사회가 채택한 결의안에는 러시아가 무력으로 자포리자 원전을 장악하기 하루 전인 지난 3월 3일 채택한 결의안보다 훨씬 더 강경한 어조로 러시아를 압박하는 내용이 담겼다.
IAEA는 이와 함께 자포리자 원전 일대를 비무장 안전구역으로 만드는 방안에 대해 러시아, 우크라이나와 협의를 진행 중이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