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잼 사이언스

[핵잼 사이언스] 씨앗 뿌리고 해충 잡고…우리가 몰랐던 나무 지킴이 ‘박쥐’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사진=자료사진(123rf)
징그러운 외모와 밤에 주로 활동한다는 사실 때문에 박쥐는 무섭거나 해로운 동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흡혈귀가 박쥐로 변하거나 새와 동물 사이에 양다리를 걸치는 동물로 묘사한 우화가 대표적이다. 최근엔 코로나 바이러스의 자연 숙주로 지목되면서 부정적인 이미지가 한결 더해졌다.

하지만 박쥐는 생태계에서 새 만큼이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과일을 먹는 박쥐는 배설물과 함께 씨앗을 뿌려 식물의 번식을 돕고 밤에 나방을 잡아먹는 박쥐는 해충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한다. 피를 빨아먹는 흡혈 박쥐는 매우 드물고 예외적인 존재다.

미국 일리노이 대학 연구팀은 박쥐가 해충으로부터 나무를 지키는 데 생각보다 큰 역할을 담당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북미에서 서식하는 8종의 박쥐와 참나무 같은 흔한 나무의 묘목을 이용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나방이나 다른 곤충은 통과할 수 있지만, 박쥐는 통과할 수 없는 그물을 이용해 실험군 나무 묘목은 박쥐와 함께 두고 대조군 묘목들은 박쥐 없이 실험했다. 그 결과 박쥐가 없는 나무들은 나무를 갉아 먹는 곤충의 밀도가 3배나 높았고 떨어진 잎의 숫자도 5배나 많았다.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참나무의 경우 9배나 많은 잎을 잃었다.

박쥐가 좋아하는 먹이인 나방은 새를 피해 밤에 활동하면서 짝짓기 하거나 식물에 알을 낳는다. 나방의 애벌레들은 주로 식물을 갉아먹기 때문에 나방의 천적인 박쥐는 나무에는 든든한 우군이다. 이번 연구는 생태계에서 박쥐의 역할이 생각보다 훨씬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


하지만 연구팀은 새의 존재도 똑같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낮에는 새가 밤에는 박쥐가 곤충의 개체수를 적당히 조절하기 때문에 생태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하지만 무분별한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새와 박쥐 모두 수가 줄어드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박쥐의 경우 약재로 쓸 목적으로 마구 잡는 과정에서 새로운 미생물이나 바이러스가 사람에 전파될 위험성도 있다. 인간과 자연 모두를 위해 박쥐를 보호해야 하는 이유다.
 


고든 정 과학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추천! 인기기사
  • 男 8명이 남편 앞에서 아내 집단 강간…신혼부부에게 벌어진
  • ‘회사 내 성관계’ 동영상 수백개 유출…결국 정부가 나섰다
  • 18세 女, 남편 사망 후 산 채로 화장됐다…‘순장’ 강요한
  • (속보)충격적 팀킬…“북한군, 전투서 러시아군 향해 총격”
  • 북한군 파병 진짜 이유?…“러軍 하루 평균 사상자 1500명
  • 사망한 시신 옮기다 어머니라는 걸 알게 된 구급대원…당시 상
  • 이란 대학 캠퍼스서 “속옷 시위” 벌인 여대생 체포
  • 세계서 가장 큰 뱀은 무엇? 길이·무게로 나눠 보니…
  • 5년 후 지구로 돌진하는 소행성 ‘아포피스’…지구 중력에 산
  • 목에 낫 꽂힌 ‘뱀파이어 유골’ 정체 밝혀졌다…생전 모습 복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